한국 HPE가 17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엔비디아와 함께 개최한 ‘AI 앳 하이퍼스케일 2025(AI@Hyperscale 2025 with NVIDIA)’ 컨퍼런스를 국내 파트너 및 고객사 400 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행사는 최신 AI 기술 및 운영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다. HPE와 엔비디아 등 업계 전문가들이 AI 인프라 구축, AI 서비스 개발, 추론 성능 최적화 등 현업 과제와 실제 적용 사례들을 발표하며 기업 경영진과 실무자들에게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날 행사는 HPE 조셉 양(Joseph Yang) HPC, AI 및 논스톱 부문 아시아태평양/인도 총괄은 생성AI, 에이전틱 AI, 물리 기반 AI를 데이터, 워크플로, 네트워크, 보안 등의 인프라 상에서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전달했다. 또한 HPE의 전문성과 엔비디아의 혁신적인 AI 기술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AI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와 함께 개최한 'AI@하이퍼스케일 2025' 행사 사진
엔비디아와 함께 개최한 'AI@하이퍼스케일 2025' 행사 사진

이어 엔비디아 정구형 솔루션즈 아키텍트 팀장이 전세계 AI 도입 가속화를 지원하는 신규 AI 팩토리를 주제로 발표했다. HPE 김희식 상무는 소버린 AI 및 AI 팩토리를 주제로 AI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HPE의 컴퓨팅, HPC 및 DLC(직접 수냉 방식)에 대해 소개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설계, 대규모 AI 학습 최적화, AI 성능을 위한 고속 스토리지, 효율적인 AI 팩토리 운영 방안 등 AI 환경 최적화를 위한 인프라 운영의 최신 해법과 실제 AI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례들이 공유됐다.

조셉 양 총괄은 “AI 기술은 경쟁의 지형을 재정의하고 있으며, 기업들이 이러한 새로운 기능에 맞춰 인프라를 어떻게 반영할지가 더 중요하다.”라며 “HPE는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조직의 AI 여정 전반을 지원하며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성장을 가능하게 하도록 돕고 있다.”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FP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