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17일, 민생경제 회복 정책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를 막기 위해 전사적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스미싱, 피싱사이트,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디지털 위협으로부터 국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KIS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금융감독원 등과 합동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스미싱 예방 전담기관으로서 KISA는 사칭 수법의 유형을 사전에 분석해 국민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KISA가 예상한 사칭 범죄 유형은 세 가지다. 첫째, 정부24나 카드사 등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쿠폰 발급’ 등의 내용으로 악성 링크 클릭을 유도한다. 둘째, 검색 엔진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등의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 상단에 피싱사이트가 노출되어 사용자 접속을 유도한다. 셋째, 보이스피싱을 통해 소비쿠폰 지급을 미끼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탈취하고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한다.
KISA는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행동 수칙도 안내했다. 첫째, 의심 문자 수신 시 KISA의 ‘스미싱확인서비스’를 통해 메시지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고, 문자 내 URL을 클릭하지 않아야 한다. 둘째, 스미싱 의심 문자는 스마트폰의 ‘스팸 신고’ 기능이나 통합신고대응센터를 통해 즉시 신고해야 한다. 셋째, 피해가 의심되거나 발생한 경우 경찰청 또는 사이버범죄신고시스템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넷째, 민원이나 상담이 필요할 경우 118 사이버민원상담센터를 이용할 수 있다.

KISA는 향후에도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한 범죄 예방을 위해 신청 홈페이지와 피싱사이트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악성 URL 긴급 차단 체계 운영, 스팸·스미싱 모니터링 강화, 118 상담전화 대응 강화 등 종합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특히 정부는 공식 안내 문자에는 인터넷주소(URL)를 포함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안내했으며, 정부24, 지자체, 카드사 등의 공식 채널 외 경로를 통한 접근은 반드시 의심하고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전 예방을 위한 핵심 조치로, 국민이 허위 문자나 가짜 사이트에 속지 않도록 유도하는 취지다.
KISA 이상중 원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 대상의 정책으로, 이를 노린 디지털 범죄 시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며 “KISA는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24시간 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소비쿠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AI 기반 사이버 위협 고도화, 방어 전략도 AI 중심으로
- 기업 여름 휴가철 보안 사각지대 대비 필수 가이드
- 안전한 사무실 복귀를 위한 5대 보안 수칙
- 이더리움 수수료 환불 사기 확산...지갑 연결 프로토콜 악용한 피싱 주의 필요
- 스미싱·권한 오판 지속...기업 보안 교육, ‘생활밀착형’ 전환 시급
- 다중 인증 우회하는 서비스형 피싱 PhaaS 확산세...도메인 난독화·하위 도메인 타깃 활용 증가
- AI 기반 공격 확산, 제로 트러스트 미도입 조직, 보안 위기 노출
- 챗GPT 사칭한 사이버 위협 115% 폭증
- 랜섬웨어 방어 핵심, 인적 위험 대응 5가지 전략
- 피싱 공격 급증·웹3 보안 위협 심화...2025년 상반기 손실, 전년도 연간치 초과
- 공공 서비스 사기, 긴급 통보와 금전 요구 수법 증가...금융정보 보호 필요
- 브라우저 AI 에이전트, 새로운 보안 취약점으로 부상
- 신종 공격 클릭픽스, 500% 이상 급증...인포스틸러·랜섬웨어·모바일 맬웨어 정교화
- [기고] AI 기술 리스크, 예측기반 ‘호라이즌 스캐닝’으로 선제 대응해야
- 랜섬웨어 공격 시즌, 선제 방어 5대 보안 전략
- 온라인 사기 막는 통합 보안 시스템
- EBT 카드 사기 막는 현장 탐지 기술, 범죄 확산 저지의 열쇠
- KISA,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수준 평가 컨설팅 진행
- AI 기반 ‘보이스피싱 음성탐색 시스템’ 전국 수사기관 도입
- 2분기에 깜빡 속은 피싱 문자들
- ‘Download’ 누르면 감염…유튜브 영상 변환 피싱 사이트 주의보
- 10명 중 7명, 디지털 사기 640억 달러 피해...국제적 대응 시급
- 제8기 인터넷주소분쟁조정위원회 출범...AI 악용 도메인 범죄 대응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