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ID 관리는 특정 개인 또는 법인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해 은행, 의료, 소매업 등에서 모든 종류의 인증이나 증명을 위해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전 세계 블록체인 ID 관리 시장 규모는 2018년 1억 700만 달러로 측정됐으며, 2019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79.2%로 성장해 2026년에는 114억 6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AMR(Allied Market Research)는 ‘전 세계 블록체인 ID 관리 시장 분석과 전망, 2019~2026년’ 보고서에서 이처럼 예측했다.

전 세계 블록체인 ID 관리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79.2%를 기록해 2026년에는 114억 6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제공=AMR)
전 세계 블록체인 ID 관리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79.2%를 기록해 2026년에는 114억 6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제공=AMR)

지역별로는 북미의 시장 점유율이 높았다. 이 지역에 주요 업체들이 자리잡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예측 기간 동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매 업체들 사이에서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것도 이 지역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요소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예측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서비스 제공 형태로 보면, 인프라 제공자 부문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는 주로 조직의 인프라를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확장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자 부문은 예측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 형태로는 인프라 제공 형태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다. (자료 제공=AMR)
서비스 형태로는 인프라 제공 형태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다. (자료 제공=AMR)

당사자 간 신뢰 및 거래 투명성 확보 필요성 증가

블록체인 기술은 중개자를 암호화된 디지털 기록으로 대체하여 거래 관리를 재구성한다. 또한 블록체인 중앙 중재자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된 시스템이나 사람들의 그룹으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거래와 데이터를 조율한다.

실제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지 않고도 당사자 간의 신뢰를 구축해 디지털 ID 블록체인 관리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여준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개인이 중요한 비즈니스 정보와 거래를 공유하고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에 대한 수요 증가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정보와 거래, 흐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하나의 중앙 집중식 공유 매개체를 만든다.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참여자들은 거래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가지며 제품 이동은 해당 원장의 일부다.

만약 누군가 디지털 원장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사기를 저지르려고 시도한다면, 그 사람은 자신의 원장만 악용하는 것이므로 동기화가 해제되고 체인 거래 및 원장은 암호화된다.

더욱이, 원장의 새로운 거래는 이전 블록과 다시 연결되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블록을 조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블록체인은 실제 데이터의 검증과 유효성을 제거하는 대신 정부 소스를 통해 직접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증명의 인증은 입증인의 신뢰성에 대한 검증인의 결정에 기초한다.

시장의 주요 업체로는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비트퓨리 그룹(Bitfury Group), 블록베리파이(Blockverify), 캠브리지 블록체인(Cambridge Blockchain), 시빅 테크놀로지스(Civic Technologies), 에버님(Evernym), IBM, KYC-체인(KYC-CHAIN),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오라클(Oracle) 등이 있다.

 

[알림] GTT KOREA의 동영상 마케팅 플랫폼 GTT SHOW는 오는 12월 14일 목요일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까지 “기업의 데이터 중심 성과향상과 의사결정 효율 높이는 '전사 기업성과관리' 전략”을 주제로 무료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기업의 다양한 성과 지표의 측정과 분석, 경영계획, 이동계획, 차이 및 변수 별 분석 등 경영 의사결정을 돕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업성과관리(CPM) 솔루션 및 ERP와 함께 운용했을 때의 장점과 실제 도입 사례를 통해 전사 CPM과 경영계획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전략과 활용법이 소개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