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비스 전문 기업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는 LLM(초거대언어모델) 응용 서비스 대화형 AI 서비스 '앨런(Alan)'을 출시하며 초거대언어모델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고 밝혔다.

앨런은 기존의 LLM 모델인 챗GPT와 GPT-4를 활용해 개발한 ‘대화형 AI 서비스’로 더 많은 사람에게 AI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개발됐다. 컴퓨터공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앨런 링’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앨런은 향후 이스트소프트의 AI 브랜드로 활용될 예정이다.
앨런의 강점은 기존의 GPT 모델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자 환각 현상을 극도로 억제하고 최신 정보를 제공하도록 고도화했다. 특히, GPT-4의 맥락 추론 기능을 강화해 질문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최신 정보를 포함한 답변을 통해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한다. 답변 정보는 출처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더 깊이 있는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질문을 생성해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웹페이지의 링크를 제시하면 해당 페이지의 정보를 분석한 후 요약해 주어 특정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거나 문제 해결 방법론을 찾는데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향후 앨런은 국내 사용 환경에 집중하면서 특정 고객층이 만족할 수 있도록 대화형 AI 비서의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 가깝게는 내년 초 개발자 전용 모드를 공개해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최신 문서나 포럼 등에서 나오는 전문 지식을 제공해 다양한 개발 업무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스트소프트는 최근 AI 휴먼 서비스를 다양한 산업 내 성공적으로 선보인 데 이어 대화형 AI 서비스 앨런을 출시하며 생성형 AI 산업에 몰입을 더욱 강화해 가고 있다.
이스트소프트 정상원 대표는 “AI로 더 편한 세상을 꿈꾸는 이스트소프트의 AI 브랜드로 앨런을 성장시켜 나가고자 한다. 앞으로 국내 시장에 꼭 필요한 대화형 AI 비서로 사용자들이 AI 기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DGB대구은행에서 만나는 AI 은행원 ‘한아름’
- 2024년 전 세계 챗봇 시장, 84억 3천만 달러 전망
- [2024년 전망] 금융계 생성AI 도입의 위험과 이점
- 노코드 맞춤형 AI 챗봇 개발 플랫폼 "의료 업무 간소화"
- 데이터 자산화로 생산성 향상 추구하는 올인원 협업툴 ‘크리니티 써팀’
- 개인화·자동화된 자기주도형 문제 해결 모바일 앱, 직원 역량 강화
- 데이터에 숨겨진 답을 찾아주는 대화형 AI 데이터 분석가
- 도·소매업 가치 올리는 생성AI 활용법
- 나만의 맞춤형 AI 개인비서가 뚝딱!
- 3D 디자인 창의성 더하는 생성AI 비서 ‘버티클’
- AI 활용 확대로 광폭 성장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 LLM'
- 로봇,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 ‘대규모 행동 모델’로
- 이스트소프트, 말벗하고 건강 돌봐주는 시니어 전용 AI 휴먼 개발 착수
- AI 편향성·환각 줄이는 'LLM 강화학습용 데이터 구축 플랫폼'
- 이스트소프트-모두의교육그룹, AI 강사 ‘배우리’ 론칭
- 국산 LLM 기술, 글로벌 평가 사이트 '오픈 LLM 리더보드'서 1위
- AI 휴먼, 언어 상관없이 질문에 3초 이내 답변
- AI 추천 안경테 배송 서비스, 안경점 매출 1600만원 증대
- 이스트소프트 ‘페르소’, MS 팀즈 프리빌트 AI 휴먼 아바타 영상 제작 앱 서비스로 등록
- 일본에 진출하는 이스트소프트 'AI 휴먼'
- 어르신 돌보는 AI 휴먼 ‘스마트경로당’
- 이스트소프트, NIA에 AI 아나운서 제공
- 이스트소프트 AI 휴먼, 교통센터 홍보 도우미로 발탁
- 인간과 같은 감정 표현∙대화 가능한 ‘디지털 휴먼’
- 지구촌 곳곳에 K-역사 알리는 ‘AI 휴먼’
- 'AI 휴먼' 100개국 언어 통역도 척척
- LLM∙3D 육안 기술 기반의 디지털 휴먼 ‘루빅 아바타’
- 이스트소프트, ‘2024 붐업코리아 수출상담회’ 참가
- 이스트소프트 'AI 휴먼', 2024 월드IT쇼 장관상 수상
- 유큐브,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정보 맞춤형 제공 PoC 공개
- LLM 환각 해결한 ‘신뢰할 수 있는 언어 모델’
- 이스트소프트, 애저 기반 '구독형 AI 휴먼 서비스' 글로벌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