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휴먼 기술 업체인 클레온(대표 진승혁)이 엔비디아 기술을 기반으로 2년 이상 진행한 연구 개발의 결과물인 ‘디지털 휴먼’을 글로벌 AI 컨퍼런스인 ‘엔비디아 GTC’에서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하는 디지털 휴먼은 인간과 같은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대화가 가능하며, 2024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클레온의 실시간 대화형 디지털 휴먼 채팅 솔루션인 ‘크리챗’에 적용된다. 크리챗은 유명인 IP와 클레온의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휴먼과 사용자가 음성 및 영상을 통해 실제와 같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앱이다.

클레온이 엔비디아 GTC에 참여해 디지털 휴먼 기술의 현재와 비전에 대해 발표한다.
클레온이 엔비디아 GTC에 참여해 디지털 휴먼 기술의 현재와 비전에 대해 발표한다.

클레온은 감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표정과 움직임 구현에 주력하며 디지털 휴먼 기술을 개발해 왔다. 특히 엔비디아 A2F(Audio2Face)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디지털 휴먼의 미묘한 감정 표현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클레온은 기술 발전을 통한 산업 혁신적인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엔비디아 인셉션’의 멤버이기도 하다. 이 프로그램은 클레온의 감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표정과 움직임을 표현하는 디지털 휴먼 개발을 위한 연구, 리소스 및 협업을 지원하고 있다.

클레온의 핵심 기술은 사진 한 장과 30초 분량의 음성 데이터로 디지털 휴먼을 생성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클레온은 ‘헤드스왑’ 기술을 상용화해 이를 자체 개발한 디지털 휴먼 영상 제작 솔루션인 ‘클론’에 완벽하게 통합했다. 헤드스왑은 사람의 얼굴을 포함한 전체 두상 이미지를 원하는 대상의 두상으로 교체하는 기술이다.

클레온 헤드스왑 기술은 단 한 장의 얼굴 사진만으로 얼굴형, 머리카락, 피부 질감까지 얼굴 특징과 구조를 자동 인식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고도의 정밀한 디지털 휴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휴먼 제작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알림] GTT KOREA와 전자신문인터넷이 오는 3월 21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Data Insight & Security Summit(DISS) 2024’에서는 “AI 트랜스포메이션, 데이터 이노베이션”을 주제로 데이터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리더들이 AI 기반 데이터 활용과 전략 수립에 난항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와 인사이트, 강력한 데이터 보안 전략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