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위치 추적을 위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수신기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위성 신호가 건물이나 가로수 잎에 의해 반사될 수 있는 밀집된 도시 환경에서는 현재의 수신기 제품들이 제 성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 추적을 위해 멀티패스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GNSS 수신기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치 추적 및 무선 통신 기술 업체인 유블럭스(u-blox, 한국지사장 손광수)는 L1 및 L5 밴드를 결합해 더욱 향상된 다중경로 저항성과 미터 수준의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는 듀얼 밴드 GNSS 플랫폼인 ‘F10’을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애프터마켓 텔레매틱스 및 마이크로 모빌리티와 같은 도심지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매우 안정된 L1 밴드와 결합된 L1/L5 듀얼 밴드 GNSS 수신기는 2m 미만의 위치 정확도(CEP50)를 제공할 수 있지만, L1 밴드만 지원하는 수신기의 위치 정확도는 약 4m 수준이다. 유블럭스는 여러 도시 지역에서 주행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플랫폼이 GNSS L1 수신기에 비해 위치 정확도가 상당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F10의 펌웨어 알고리듬은 신호가 약한 환경에서는 L5 밴드 신호에 우선 순위를 지정함으로써, 소형 안테나와 함께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위치 정확도를 보장한다. 또한 이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신뢰할 수 있는 위치 정확도 추정 값을 제공하는 보호 수준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
셀룰러 모뎀이 GNSS 수신기에 매우 가까이 있으면 신호의 수신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일부 F10 모듈 모델(NEO-F10N, MAX-F10S, MIA-F10Q)은 GNSS와 셀룰러 모뎀이 간섭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견고한 RF 회로를 장착하고 있다.
유블럭스 F10 플랫폼은 이전 세대인 유블럭스 M10 제품과 핀 투 핀 호환이 가능해 쉽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실시간 온라인 A-GNSS 서비스인 유블럭스 어시스트나우(AssistNow)를 지원해 GNSS 최초 위치 결정 시간(TTFF)을 단축하고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유블럭스 EVK-F101 평가 키트는 2024년 4월부터 공급 가능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수많은 과학자들의 땀으로 빛나는 별 ‘인공위성’
- 현장 촬영 필요없는 ‘위성영상 모니터링 솔루션’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우리 軍 '우주·사이버보안' 무기체계 개발 강화
- 양자 기술의 두 얼굴, ‘기회와 위협’
- 위성 IoT 연결해 원격에서 숲 모니터링 ‘산불예방’
- 유블럭스, 자율주행 차량 프로젝트에 잇단 채택
- 유블럭스, GNSS 통합 LTE-M 모듈 신제품 출시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GPU 기반’ 지리공간 데이터 분석법 개발
- 차세대 고정밀 위치정보 시뮬레이션 시스템 ‘PNT X’
- [Success Story] 잘 깎는 잔디깎이 로봇, 알고 보니 GNSS 탑재했네!
- MEV로 연장된 ‘위성 수명’...통신 안정성 강화
- 유블럭스, 초소형 LTE Cat 1bis 셀룰러 모듈 출시...‘LTE 글로벌 연결성’ 강화
- 유블럭스 ‘고정밀 위치추적 솔루션’, 엔비디아 ‘자율주행 개발 플랫폼’ 지원 강화
- 유블럭스 GPS '스푸핑·재밍' 방지 '항법 위성 시스템' 모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