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 및 민간 전문가와 함께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를 구성하고 16일 출범식을 개최했다.
최근 증가하는 의료·헬스케어 데이터세트 구축과 데이터 기반 디지털치료기기 허가 사례 등 데이터가 바이오 및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잡는 가운데, 정부는 연구자 맞춤형 데이터플랫폼을 구축·제공해 데이터 가치 제고를 위해 이번 협의체를 구성했다.

이번 민·관 협의체는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과 민간 전문가인 이도헌 KAIST 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구성하고,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바이오·헬스 데이터 관련 주요 부처와 산·학·연·병 민간 전문가가 참여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본 협의체를 민·관 소통과 협력 채널로 적극 활용하여 산재된 데이터의 연계부터 품질 제고, 그리고 데이터 공유·분석·활용에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인 범부처 통합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 국가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 플랫폼(CODA) 등 기존의 국내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현황과 새로운 데이터 구축을 위한 ‘한국형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계획 등을 공유했다.
또한 기존 데이터와 신규 데이터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과 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 분석 솔루션 제공 등 이용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산재된 데이터가 연계·활용되면 그 가치는 더욱 극대화될 것”이라며, “그동안 공공과 민간에서 생산된 바이오·헬스 데이터가 제대로 쓰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고품질 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최대 1500만 원 지원’
- 복잡한 이력서 준비, ‘디지털배지’로 부담 줄여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쟁점 해결 과제 구체화
-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R&D 전년대비 22% 확대
- 나노팹 온라인 원스톱 서비스 ‘모아팹’
- KISA-과기정통부-부산시-부산테크노파크,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에 ‘1197억 원 투자’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 쟁점 해결 본격 돌입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과기정통부, 도로·지하차도 침수 사고 예방 TF 출범
- 자율주행 AI 학습에 배달로봇 촬영 영상정보 활용 허용
- 공공기관 데이터 통합한 ‘디지털집현전’
- 과기정통부, ICT 기술 초격차 확보에 1324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기반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 정부가 5조 8577억원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
- 과기정통부, 농어촌 5G 통신 공동이용 상용화 완료
- ‘2024년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협력’ 사업 공고
- 친환경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실현의 열쇠는 AI”
- 복잡한 공장 인허가, 디지털 트윈 활용 ‘클릭 한 번으로 해결’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발족
- 흩어진 개인건강기록 통합하는 '생성AI 기반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 과기정통부, ‘AI 연구거점 사업 수행기관’ 공모...2028년까지 360억원 투입
- 액셀러레이터 지원받는 '디지털 혁신기업' 모집중
- 신축성·무선통신 걱정없는 ‘전자 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