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 및 민간 전문가와 함께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를 구성하고 16일 출범식을 개최했다.

최근 증가하는 의료·헬스케어 데이터세트 구축과 데이터 기반 디지털치료기기 허가 사례 등 데이터가 바이오 및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잡는 가운데, 정부는 연구자 맞춤형 데이터플랫폼을 구축·제공해 데이터 가치 제고를 위해 이번 협의체를 구성했다.

이번 민·관 협의체는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과 민간 전문가인 이도헌 KAIST 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구성하고,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청을 비롯한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바이오·헬스 데이터 관련 주요 부처와 산·학·연·병 민간 전문가가 참여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본 협의체를 민·관 소통과 협력 채널로 적극 활용하여 산재된 데이터의 연계부터 품질 제고, 그리고 데이터 공유·분석·활용에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인 범부처 통합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 국가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 플랫폼(CODA) 등 기존의 국내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현황과 새로운 데이터 구축을 위한 ‘한국형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계획 등을 공유했다.

또한 기존 데이터와 신규 데이터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과 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 분석 솔루션 제공 등 이용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산재된 데이터가 연계·활용되면 그 가치는 더욱 극대화될 것”이라며, “그동안 공공과 민간에서 생산된 바이오·헬스 데이터가 제대로 쓰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고품질 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