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트러스트’는 사용자, 기기, 네트워크 트래픽을 인증 전까지 신뢰하지 않으며, 인증 후에도 신뢰성을 검증하는 보안 모델로 기존 사이버 보안 접근 방식인 ‘경계 기반 보안’의 한계를 보완한다. 이 모델로 전환하려는 기관이나 기업은 도입 계획을 수립해야 하지만, 기술적 요소나 도입 절차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공공·민간 분야에서 제로트러스트를 단계적으로 확산시키고자 전문 컨설팅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컨설팅 내용은 ▲핵심요소 별 환경 현황 및 분석 ▲성숙도 평가 ▲보안 모델 설계 ▲도입 전환 로드맵 수립 등을 지원한다.
이번 제로트러스트 도입 전환 컨설팅의 수요 기관 및 기업을 파악하기 위해 8월 26일부터 사전 수요조사를 진행 중이며, 자세한 내용은 KISA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KISA 오진영 정보보호산업본부장은 “제로트러스트 전환을 원활하게 진행하려면 기관 및 기업의 보안 수준과 내·외부 환경을 고려한 중장기 전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KISA는 이 컨설팅으로 기관과 기업의 환경을 사전 분석해 제로트러스트 전환을 단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장명곤 기자
mgj1020@gttkorea.com
관련기사
- KISA-과기정통부, ‘2024 AI 시큐리티 데이’ 개최
- KISA, 국제 규범준수 경영시스템 ‘ISO 37301’ 사후심사 통과
- KISA-과기정통부, ‘2024 모의 ICT 분쟁조정 경연대회’ 성료
- 사이냅 문서뷰어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 획득
- KISA-과기정통부, ‘랜섬웨어 레질리언스 컨퍼런스’ 개최
- 샌즈랩-로그프레소, 차세대 AI 기반 XDR 개발 맞손
- KISA, 구글·MS·네이버와 ‘인터넷 브라우저’ 보안 강화 협력
- ‘지능형 CCTV 시험·인증’ 신설...검증된 CCTV로 국민 생활 안전과 활용성 높인다
- KISA-SK증권, 블록체인·정보보호 스타트업 지원 확대
- KISA, 국내 보안 기업 중동지역 수출 지원 강화
- KISA, CHAMP 최우수훈련기관·자율공동훈련센터 선정
- KISA-독일 연방정보기술보안청, ‘IoT 보안인증’ 상호 협력...유럽지역 확산 기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사
- KISA, 19개국 CERT 대상 사이버보안 교육 실시
- KISA-대한변리사회, ‘도메인분쟁조정제도’ 활성화로 ‘사이버스쿼팅’ 방지
- KISA, ‘2024 한글주간’ 행사 주관...'한글도메인' 체험 부스 운영
- 정부, 세계 3대 AI 국가 이정표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 출범...2028년까지 946억 원 투입
- 네오아이앤이, 제로트러스트 기반 글로벌 AD 인증 솔루션 국내 도입
- [2025년 전망] 핵심 보안 전략 ‘제로트러스트,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
- 클라우드 보안에 ‘제로 트러스트’ 도입 가속화…“최우선 과제는 ID·IAM·데이터 암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