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에서는 자율성과 인간 협업 능력을 갖춘 로봇 기술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예측 불가능한 작업 환경이나 고객 대면 상황이 많은 분야에서는 복잡한 기능 수행과 빠른 적응력이 요구되며, 기존의 단순 자동화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지속되어 왔다.
로봇 통합 및 AI 기반 자동화 기업 로봇랩(RobotLAB)이 교육, 물류 및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전반 지원을 위해 설계된 자사의 1세대 인간형 로봇 ‘브로봇(BroBot)’을 출시했다.
역동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제작된 브로봇은 하이브리드 아날로그-디지털 인터페이스, 자율 작업 프로토콜 및 상황 인식 시스템을 활용해 최소한의 감독으로 필수적인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촉각 인터페이스 요소와 내장된 의사 결정 기능을 결합해 작업 실행, 환경 적응 및 기본적인 인간 상호 작용을 지원한다. 모듈식 아키텍처를 통해 조직은 상당한 인프라 수정이나 고급 교육 없이 특정 사용 사례에 맞게 장치의 기능을 맞춤 설정할 수 있다.
초기에는 교육 환경, 경작업 지원을 모색하는 창고 및 물류 운영, 현장 존재 및 상호 작용이 필요한 서비스업 및 고객 대면 공간을 위주로 공급이 진행될 계획이며, ▲지속적인 입력 없이 일상적인 기능을 자율적 수행 ▲실시간 상황 인식 기반 행동 조정 ▲다양한 운영 설정 호환 등의 기능을 지원할 계획이다.
성공적인 내부 테스트 단계를 거친 후 2025년 2분기에 제한적인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브로봇을 업데이트할 계획이며, 전 세계 네트워크와 협력해 기능, 작업장 적합성 및 시스템 전반을 개선할 예정이다.
로봇랩의 인간형 로봇 프로젝트 매니저 베일리 룬드( Bailey Lund)는 “브로봇을 통해 우리는 즉각적인 유용성과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인간-로봇 협업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라며, “이 플랫폼은 배포가 간단하고 작동이 직관적이며 첫날부터 영향력이 있도록 설계되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휴머노이드 로봇 훈련소...맞춤형 실전 훈련으로 대규모 로봇 개발
- 물류 프로세스·로봇 협업 최적화 ‘AI 창고 자동화 솔루션’...운영 효율·처리 속도↑
- 멀티 태스킹 가능한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15Kg 소포 작업 및 SPS 분류도 거뜬
- ‘AI 자율제조’로 진화하는 스마트 제조와 스마트 팩토리
- “2030 로봇의 미래…AI·AR/VR 신기술 접목과 인간 환경 통합으로 인간-기계 간 협력 시대 활짝”
- [CES 2025] 서비스형 에이전트 탑재 ‘다용도 휴머노이드’...인간-기계 상호작용·정밀 작업 수행
- [CES 2025] 합성 데이터 학습으로 정교해지는 휴머노이드 로봇...엔비디아 ‘아이작 GR00T’ 라인업
- [CES 2025] AI·센싱 기술 융합된 ‘완전 디지털 라이다’…로봇 자율성·효율성↑
-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작 유연성·정확도 높이는 ‘하모닉 드라이브’
- 인간처럼 움직이는 휴머노이드 ‘PM01’...광학 모션 캡처와 종단 간 신경망으로 진화
- AI 서비스 로봇이 바꾸는 숙박·외식 산업의 미래
- 로봇 자동화 구현 문제 해결 전략...컨설팅과 장기적 고객지원 자동화
- 고정밀·고속·무중단 상용 로봇 ‘다이나-1’ 인기...적응성 높아 다양화 가능
- 프로그래밍 없이 AI 학습 가능한 30Kg급 AI 로봇...제조산업 자동화 가속
- LG CNS–스킬드 AI,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산업 자동화 협력
- 산업용 자율 휴머노이드 로봇...기동성과 다관절 조작 능력 고도화
- [Success Story]대학에 간 AI 휴머노이드 로봇, 교육 격차 해소와 STEM 혁신 가속
- 키논 로보틱스, 체화 AI 장착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 삼정오토메이션, ‘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 기업 선정
- 휴머노이드, 코드 없이 인간처럼 움직이는 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