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단 한 장의 인물 사진만으로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말하는 초실사 AI 아바타 생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초실사 AI 아바타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해 차량과 사람 간의 직관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단순한 명령 수행에 그쳤던 기존 음성 기반의 AI 비서나 내비게이션과 달리 정교한 표정과 입 모양 표현을 통해 실제 사람과 같은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입술, 턱 등 발화와 직접 연관된 부위를 선별적으로 학습·합성하는 독자적인 알고리듬이다. 이는 불필요한 정보 학습을 줄이고 입 모양, 치아, 피부 주름 등 세밀한 얼굴 표현을 더욱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자율주행차 외에도 ▲키오스크 ▲은행 창구 ▲뉴스 진행 ▲광고 모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AI 기반 디지털 휴먼 산업의 혁신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ETRI는 AI 아바타가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움직이는 생성AI 기술을 고도화해 주문, 상담 등 일부 인력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상호작용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ETRI 윤대섭 모빌리티UX연구실장은 “모빌리티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노인이나 사회적 약자들이 소외될 수 있다. 이번 AI 아바타 기술이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기여하고, 모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로 발전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은비 기자
eunbi@gttkorea.com
관련기사
- ETRI, 분산제 없이 그래핀 안정화하는 투명 필름 기술 개발
- 올해의 ETRI 연구자상, ‘반도체 패키지용 에폭시 기반 접합 신소재’ 개발 엄용성 박사 선정
- ETRI, 중계기 없이 실내 통신 가능한 ‘지능형 재구성 안테나’ 기술 개발
- ETRI, 지역산업 기반 AI 융합 및 ICT 기술 개발 선도
- ETRI-연세대-파스칼, 양자컴퓨팅 연구 및 인력양성 협력 강화
- ETRI, 기업 집중 지원 프로그램 ‘E-패밀리기업’ 성과 공개
- ‘디지털 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 시스템’ 개발...상수도 이상 탐지 및 예측
- ETRI-ESA, 6G NTN 기술 협력 강화…국제 표준화 본격화
- ETRI 김승환·임채덕 박사 과학기술훈장 수상
- ETRI, AI 3D 실감미디어 기술로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진출
- 6분 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가능한 AI
- ETRI, 비정형 지형 인식 AI 기술로 세계 2위...자율주행·재난로봇 활용 청신호
- ETRI, ‘ETRI 컨퍼런스 2025’ 개최
- 자율성장형 AI 상담 기술, 비정형 수면 데이터 기반 능동형 케어 실현
- 경영 리더십 복제 시대 개막...AI가 CEO 역할까지
- 아바타 기반 AI 영상 자동화 솔루션...마케팅 효과↑비용↓
- 알리바바, 디지털 휴먼 영상 생성 오픈소스 모델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