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비지상망(NTN) 기술은 기존 지상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오지, 해양, 항공과 같이 기존 네트워크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 위성과 지상망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될 6G 시대에는 NTN 기술이 핵심 기술로 부상할 것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난 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에서 유럽우주국(ESA)과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ETRI와 ESA의 6G 위성통신기술 협력 협약식 사진
ETRI와 ESA의 6G 위성통신기술 협력 협약식 사진

이번 협력으로 ESA의 우주기술 전문성과 연구원의 통신 역량을 결합해 6G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중 NTN 기술 개발 및 국제 표준화를 추진한다. 아울러 위성과 지상 6G 네트워크 간 통합 기술 및 주파수 간섭을 완화하고 네트워크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기술을 개발하고 검증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3GPP 표준 기반 5·6G NTN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ITU-R 및 3GPP 등 국제표준화단체에서 기술표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NTN 기반 서비스의 상용화 촉진을 위한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ESA은 유럽의 23개 회원국과 위성기술, 과학 탐사 발전에 기여하며 우주 분야에서 지속적인 R&D 업무를 이끌어 왔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이번 협력은 6G NTN 발전, 글로벌 협력 강화, 그리고 미래 통신 기술을 주도하는 의미있는 파트너십의 시작이다. ESA와의 협력이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교두보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