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부족과 제한적·반복적 행동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 조기 발견과 의료 개입이 발달 경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전문 인력 부족, 사회적 인식 한계, 자원 제약 등으로 진단까지 2~6년이 소요되고 있다. 주요 증상이 생후 12~24개월 이내에도 나타날 수 있어 조기 선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팀과 협력해 42개월 이하 영유아 3천 531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사회적 반응을 6분 이내로 AI 분석
연구진은 영유아의 사회적 반응을 유도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를 개발했다. 이 콘텐츠는 흥미 유발, 이름 부르기 반응, 모방 행동, 가리키기, 눈 맞춤 등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낸다.

이후 영유아가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촬영된 6분 이내 영상을 분석해 개인 특성 정보, 감정 인식, 응시점 및 호명 반응 탐지, 제스처 인식, 모방·상동 행동 탐지 등을 수행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인식 AI’ 기술을 적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기존 선별 도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해법을 제시한다. 또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문턱을 낮춰 유아원, 보육시설, 발달센터,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간편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접근성을 향상한다.
이 기술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과 예방적 검사를 활성화하고, 조기 개입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며, 영유아 및 아동의 발달을 지원하는 실질적 대안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연구책임자인 ETRI 소셜로보틱스연구실 유장희 박사는 “자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증상 발견 후 진단까지의 기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AI 3D 실감미디어 기술로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진출
- ETRI 김승환·임채덕 박사 과학기술훈장 수상
- 실시간 사용자 행동 분석·요약 기능 강화한 ‘사용자 분석 AI 플랫폼’...협업·도입율↑
- ETRI, 사진 한 장으로 실시간 대화 가능한 초실사 AI 아바타 만들어
- ETRI, 분산제 없이 그래핀 안정화하는 투명 필름 기술 개발
- 생성AI 기반 영업 성공률 높이는 ‘실시간 AI 리드 인사이츠’
- 올해의 ETRI 연구자상, ‘반도체 패키지용 에폭시 기반 접합 신소재’ 개발 엄용성 박사 선정
- ETRI, 중계기 없이 실내 통신 가능한 ‘지능형 재구성 안테나’ 기술 개발
- ETRI, 지역산업 기반 AI 융합 및 ICT 기술 개발 선도
- ETRI, 비정형 지형 인식 AI 기술로 세계 2위...자율주행·재난로봇 활용 청신호
- ETRI, ‘ETRI 컨퍼런스 2025’ 개최
- 자율성장형 AI 상담 기술, 비정형 수면 데이터 기반 능동형 케어 실현
- ETRI, 디지털트윈 기반 AI 상수도 관제 시스템 개발 본격화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화 자문그룹 신설 주도
- ETRI, ‘제주AX융합연구실’ 개소...ICT 핵심 거점 본격 조성
- [기고]감정을 이해하는 AI, 개인 맞춤형 변화 시대를 열다
- “AI·신경과학 결합, 실시간 집중력 코칭으로 성과 혁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