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는 양자내성암호(PQC) 시범전환 지원사업에 선정되면서, 의료 데이터 보안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 프로젝트는 양자내성암호를 활용한 최초의 개방형 의료 데이터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보안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예정이다.
라온시큐어는 자사의 전자서명 및 구간암호화 솔루션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여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이번 사업에서는 한국형 양자내성암호 알고리듬읠(KpqC)과 미국 NIST 표준에 기반한 기술을 적용한다. 이로써 글로벌 사이버보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잠재력을 입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신촌, 강남, 용인 세브란스병원에서 시범적으로 적용되며, 추후 더 많은 의료기관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라온시큐어 컨소시엄은 양자내성암호 기반의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를 통해 환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공개키 암호 체계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기존 시스템의 점진적 전환을 도모한다.
컨소시엄은 라온시큐어를 주축으로 파이디지털헬스케어, 크립토랩,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참여하고 있다. 각 참여 기관은 양자내성암호 모듈을 다양한 의료기관에 적용하며 실증실험을 진행하고, 향후 국제 표준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온시큐어의 이정아 대표는 “양자컴퓨터의 발전과 디지털 헬스케어의 확산으로 인해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며, “양자내성암호 기반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제적 보안 표준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치료제(DTx) 기업, 의료 AI, 원격의료, IoT 기반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주민등록증' 4500만 대상 전국 발급 시작
- 라온시큐어-모니터랩, ‘제로 트러스트·클라우드 보안’ 고도화 맞손
-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능 추가된 ‘라온 모바일 시큐리티’
- 개인 데이터 보안 강화한 ‘트러스트 데이터 커넥톰’...양자 보안 개선 본격화
- 라온시큐어,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 보안 솔루션에 PQC 적용
- [2025년 전망] ‘PQC·신뢰·AI피싱’ 사이버 보안 명암 가려
- IBM, ‘AI·양자컴퓨팅 위협’ 걱정없는 보안 플랫폼 ‘IBM 가디엄 데이터 시큐리티 센터’
- 라온시큐어, 2025 정보통신 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
- 양자 위협 '큐-데이' 부상으로 기업 PQC 전환 가속...하이브리드 방식 확산
-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서비스 일본서 월이용자수 700만 돌파
- 초전도 양자컴퓨팅 기업 IQM, 6월 국내 본격 진출
- 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기술설명회 성료
- 양자 위협에서 민감 데이터를 보호하는 강력한 보안 '포스트 양자 암호화'
- 라온시큐어, 옴니원 플랫폼으로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구축’ 사업 수주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디지털 ID 기술 기반 ‘AI 인재’ 인증 체계 구축
- F5, 양자 위협 대응 앱·API 보호하는 양자내성암호 솔루션 전면 통합
- 라온시큐어-파이디지털헬스케어, 양자내성암호로 의료 데이터 보안 강화 협력
- 라온시큐어, 코스타리카 디지털 ID 민간 확산 사업 본격화
- 라온시큐어, PQC 기반 키패드 암호화 특허 취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