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가 B2B SECaaS 전문기업 모니터랩(대표 이광후)과 ‘제로 트러스트 기반 클라우드 보안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을 지난 5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라온시큐어와 모니터랩은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제로 트러스트 보안 환경 구현과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향후 제로 트러스트 보안 시장 내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라온시큐어는 모니터랩과 기술 협력을 통해 자사의 생체인증(FIDO) 기반 다중 요소 인증(MFA)과 계정 권한 관리(IAM) 보안 기술을 모니터랩의 SSE(Security Service Edge) 플랫폼에 결합해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접근 통제 서비스를 강화한다. 인증이 허가된 사용자만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제로 트러스트 보안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라온시큐어는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에 맞춰 클라우드 기반 SaaS 보안 사업을 강화한다. 생체인증 기반 MFA 플랫폼 ‘원패스(OnePass)’와 통합계정 권한 관리 플랫폼 ‘터치엔 와이즈억세스(TouchEn Wiseaccess)’를 클라우드 기반 SaaS 서비스로 제공해 클라우드 중심의 업무 환경에 대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체계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과의 연동을 통해 하이브리드 보안 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정아 라온시큐어 대표는 “디지털 전환(DX)이 가속화되고 생성형 AI 기반의 보안 솔루션이 등장하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높은 수준의 보안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며, “모니터랩과의 업무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한층 더 강화된 제로 트러스트 보안 체계를 구현하고,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보안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광후 모니터랩 대표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안전한 네트워크 보안을 구현하기 위해선 기업 애플리케이션으로 향하는 모든 트래픽을 신뢰하지 않고 검증하며, 내부자에 대해서도 신원 검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라온시큐어와의 협력을 통해 고객사에 높은 수준의 제로 트러스트 보안을 제공하고, 향후 제품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능 추가된 ‘라온 모바일 시큐리티’
- 라온시큐어, AI 민간 자격증 블록체인 플랫폼 '옴니원 배지'로 발급
-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검증 및 사본 생성 솔루션’, 안전한 금융 서비스 지원
- 라온시큐어,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 보안 솔루션에 PQC 적용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의료인 디지털 신분증 본격화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플랫폼 '옴니원' 오픈소스 공개
- 라온시큐어, 매출 624억 돌파하며 흑자 전환
- 클라우드 네이티브, ‘에어 갭 리커버’로 사이버 복원력 확보
- SaaS 활용 확대로 보안 강화 필요성도 증가
- 라온시큐어, 기업 맞춤형 지속 점검 ‘화이트해커 구독 서비스’ 출시
- 비즈니스 중단 막는 클라우드 보안 5가지 핵심...‘프레임워크·제로트러스트·모니터링·암호화·복원력’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주민등록증' 4500만 대상 전국 발급 시작
- 클루커스-위즈, 국내 클라우드 보안 강화 위해 맞손
- 데이터 보호 및 규제 준수 강화한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 라온시큐어-아이앤텍, 블록체인 기반 대학 증명 서비스 확대 맞손
- 공격자 가두는 ‘미끼 자산 기반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실시간 공격 대응
- 라온시큐어,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 선정
- 라온시큐어, 2025 정보통신 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
-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서비스 일본서 월이용자수 700만 돌파
- “AI 위협과 클라우드 리스크 대응 최적 전략, SECaaS 통합 보안”
- 브라우저 기반 실시간 ‘SaaS·생성AI 보안 솔루션’...섀도우 IT 보안 강화
- 라온시큐어, 옴니원 플랫폼으로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구축’ 사업 수주
- 딥페이크·AI 사칭 대응, 기업·공공용 실시간 AI 신원 검증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