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QA) 현장에서는 개발 주기가 짧아지고 서비스 복잡성이 급증하면서 테스트 자동화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기능 변경이 빈번한 환경에서는 수작업 스크립트 작성이나 유지보수로 인한 비용 부담이 커지고, 테스트 커버리지의 공백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QA팀이나 개발팀은 오류 탐지와 디버깅에 과도한 리소스를 투입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출시 지연이나 품질 저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안정적이고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테스트 솔루션에 대한 요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테스트를 설계·수행할 수 있는 생성AI 기반 기술이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에이전틱 AI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업 테스터파이(Testaify)가 자율 소프트웨어 테스트 플랫폼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코드 없는 앱 탐색과 자동 테스트 설계

이 플랫폼은 기존 테스트 자동화 툴과 차별화된 완전 자율 기능을 구현했다. 사람이 스크립트나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AI가 스스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탐색해 애플리케이션 구조나 기능을 파악하고, 별도의 안내 없이 어떤 테스트가 필요한지를 판단해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기존의 이른바 자율 테스트 툴들이 실제로는 사전에 사람의 지시나 코드 삽입을 필요로 한다는 점과 차별화됐다.

또한 ‘AI 오라클(AI Oracle)’ 기능이 각 테스트의 결과를 평가하고, 개발팀이 문제 해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사람에게 이해하기 쉬운 결과 리포트와 영상 재생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 리플레이는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정확히 보여주어 디버깅 시간을 단축시키고, QA 팀의 커뮤니케이션 부담도 줄여준다. 또한 테스터파이의 AI 솔루션은 잘 정립된 테스트 방법론을 일관되게 적용해 기능 테스트의 커버리지를 보장한다.

학습 기반 커버리지 확대

시간이 지날수록 AI가 학습을 통해 더 많은 시나리오를 다룰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테스트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특징이다. 수작업 QA 대비 최대 400배 빠르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유지보수 부담 없이 대규모 테스트를 원하는 팀을 위해 ‘그로스(Growth)’ 요금제가 제공되며, 이 요금제에는 월간 무제한 테스트 세션, 10개의 병렬 자율 워커, 테스트 방법론 액세스, CI/CD 파이프라인과의 API 통합 기능이 포함된다.

테스터파이 라파엘 E. 산토스(Rafael E. Santos)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테스트아이파이는 시스템이 스스로 탐색하고, 무엇을 테스트할지 결정하며, 테스트를 수행한다.”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FP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