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서비스 시장에서 품질 검증과 배포 속도는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이다. 기존 개발 환경에서는 테스트 수행과 분석 과정이 코드 작성 과정과 분리돼 있어 개발자와 QA 엔지니어가 반복적으로 도구와 환경을 오가며 작업해야 했다. 이러한 비효율은 복잡한 멀티플랫폼 환경과 짧아진 배포 주기에서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해왔다.
실제 기기에서 다양한 OS 버전과 환경을 대상으로 테스트해야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자연어를 기반으로 한 테스트 자동화와 IDE 환경 내 통합 작업 흐름이 점점 필요해지고 있다.
IDE와 MCP 통합으로 효율적인 테스트 지원
디지털 경험 테스트 플랫폼 P클라우디(Pcloudy)가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기본 지원을 발표했다. 이 기능은 IDE 환경에서 자연어 명령을 통해 실제 기기에서 테스트를 직접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커서(Cursor),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 등과 유사한 흐름으로 지능형 테스트 지원 기능이 코딩 및 디버깅 과정에 바로 통합된다.

개발자는 IDE 내 AI 비서를 통해 “안드로이드 14가 설치된 삼성 기기에서 이 테스트를 실행해 달라” 또는 “iOS에서 실패하고 안드로이드에서 통과한 이유를 알려 달라”와 같은 명령을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AI 에이전트는 P클라우디 인프라에 즉시 접근해 테스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분석해 제공한다.
P클라우디 MCP 지원을 통해 AI 에이전트는 5000여 개의 실제 디바이스를 갖춘 P클라우디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큐필롯(Qpilot)으로 테스트를 자동 생성하며 퀀텀 런(Quantum Run)을 이용해 테스트 실행을 조율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수 시간이 걸리던 테스트 생성과 분석 작업이 몇 초 만에 완료될 수 있다.
또한 MCP를 통한 통합은 AI 기반 도구와 결합될 때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어 개발자는 “Qpilot을 사용해 새로운 결제 모듈에 대한 테스트를 생성하고 우선순위 높은 기기에서 실행한 뒤 실패 결과를 요약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으며, MCP 기반 에이전트가 전체 테스트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보안과 확장성 강화한 MCP 서버 제공
P클라우디 MCP 서버는 OAuth 2.1 인증, 역할 기반 접근 제어, 감사 추적 기능을 제공해 보안성을 강화했으며, 기업은 온프레미스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에 MCP 서버를 설치해 테스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개발자를 위한 파이썬, 타입스트립트(TypeScript), 자바SDK와 상세 문서, 사전 구축된 MCP 구성도 함께 제공된다.
P클라우디의 공동창립자 아비나시 티와리(Avinash Tiwari) 공동 창립자는 “MCP 지원은 개발자가 VS 코드, 터미널, AI 어시스턴트 등 원하는 환경에서 자연어 명령만으로 P클라우디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혁신”이라며 “복잡한 테스트 생태계를 단순화하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MCP를 통한 테스트 자동화가 전체 테스트 생태계 접근성을 높여 개발 효율성과 품질 검증 속도를 모두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했다.
P클라우디의 MCP 기본 지원은 IDE 환경 내 테스트 자동화 통합을 통해 개발자 경험을 혁신하고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단축시키는 기술로 평가된다. 이번 통합으로 개발자와 QA 엔지니어는 보다 직관적이고 빠른 방식으로 테스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복잡한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제품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P클라우디는 MCP 서버를 전 고객에게 즉시 제공하고 AI 기반 테스트 자동화 생태계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 ‘AI 테스트 어시스턴트’...중복 제거·우선순위 지정으로 QA 효율화
- AI로 IT 개발 처리량 높이는 3대 실전 전략...속도·품질·신뢰 확보
- “소프트웨어 개발 자동화 부족, 기업 생산성과 보안에 치명적 손실 초래”
- SW 테스트 자동화 AI 에이전트 5종...테스트 속도·정확도 향상
- 기업 맞춤형 AI 합성 데이터 플랫폼...속도·보안·정확성 향상
- 실시간 개인화·자동화하는 ‘AI 기반 자율 프레임워크’...B2B·리테일 전략 강화
- 생성AI 기반 자율 테스트...복잡한 QA 생산성 가속
- 기업 QA 업무 자동화 시대 개막...AI가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 완전 자율형 QA 플랫폼...테스트 자동화에서 자율화로 전환
- 테스트 자동화 AI 에이전트...자연어로 테스트 생성·실패 분석 지원해 테스트 속도·정확도↑
- 생성AI 기반 ‘테스트 자동화 플랫폼’, SW 테스트 속도·품질↑
- AI 기반 테스트 자동화로 회귀 시간 50% 단축
- IDE 통합형 AI 분석으로 테스트 속도·품질 높이는 ‘오토메이션 MCP 서버’
- 생산성 3배 올리는 AI 기반 데브옵스...스크립트 제거·자연어 분석 제공
- MCP 서버 무분별 확산, 기업 AI 보안의 ‘숨은 폭탄’
- 에이전트 워크플로와 실시간 개인화 통합, 기업 ROI 371% 달성
- CRM 통합 취약점 노린 OAuth 공격, SaaS 보안 거버넌스 시급
- 자동화 테스트 신뢰성 높이는 AI 자가 치유 기술...오류율·유지보수 부담↓디버깅↑
- 보안 인증 IDE·CLI 통합 ‘범용 AI 개발 플랫폼’...안전성·생산성↑
- 멀티 모델 연동 ‘MCP 서버’, AI 출력 일관성과 상호운용성 강화
- 서울대학교–NI, AI 기반 테스트 자동화 SW 개발 협력
- 개발 시간 70% 단축하는 ‘테스트 자동화 생성AI 솔루션’
- AI를 테스트 팀원으로...개발·QA 협업 자동화로 품질 검증 효율 대폭 향상
- 웹 접근성과 UI 품질, AI가 자동 감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