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를 분석해 올해 주목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AI를 악용한 보안 위협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보안 위협 ▲개인 정보, 민감 정보 등 주요 데이터 유출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랜섬웨어 ▲공격 대상 확장에 따른 네트워크 보안 위협 등을 선정했다.
이번 선정을 위해 삼성SDS는 IT·제조·금융·운송·회계 등 국내 대기업과 공공 부문 보안 전문가 700여명의 설문 결과를 반영했으며, 삼성SDS의 글로벌 보안 운영 경험과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한 대응 방안도 제시했다.
AI를 악용한 보안 위협
산업 전반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생성AI 기술이 새로운 보안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다. 해커는 ‘웜 GPT’, ‘사기 GPT’ 등 생성AI를 악용해 손쉽게 대량으로 악성코드를 제작해 사이버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AI를 적용한 악성코드 분석, 위협 자동식별 등 방어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보안 위협
기업 맞춤형 하이브리드 환경의 경우 보안 구성과 관리 영역이 복잡해 보안 취약점 발생 가능성이 높다. 기업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전반을 보호하는 클라우드 통합 보안 플랫폼(Cloud Native Application Protection Platform, CNAPP)을 도입해 클라우드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하이브리드 환경 전체의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주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점검하면서 잘못된 환경 설정을 신속하게 식별해 보안 취약점에 대응해야 한다.
개인 정보, 민감 정보 등 주요 데이터 유출
데이터 유출 경로와 공격 방법이 다양해지고, 유출된 데이터가 다크 웹에서 거래되면서 2차 피해까지 유발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임직원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수립하고 데이터 손실 방지·저작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데이터 유출을 예방하고 규제 대응에 힘써야 한다.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랜섬웨어
랜섬웨어를 상품화해 사이버 범죄에 활용하는 RaaS(Ransomware as a Service, RaaS)사례가 늘어나면서 초기 침투 브로커(Initial Access Broker, IAB)를 활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기업은 데이터와 자산 보호를 위해 보안 취약점을 제거하고 엔드 포인트 보안을 강화하는 등 랜섬웨어 공격 발생 시 비즈니스 중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안 탄력성(Security Resilience)을 확보해야 한다.
공격 대상 확장에 따른 네트워크 보안 위협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클라우드, 모바일 등으로 업무 환경이 확장되면서 해커의 공격 대상도 증가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 위협 대응을 위해서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을 적용해 반드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시스템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또한 공격 대상을 선제적으로 축소하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자동으로 탐지·분석·차단하는 기술인 TI(Threat Intelligence) 활용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생성AI의 활용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업에서는 민감 정보 유출을 우려해 활용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 삼성SDS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라이빗 환경에서 다양한 생성AI 활용이 가능한 FabriX를 선보였으며, 민감 정보를 탐지·차단하는 AI 필터링 기능도 제공한다.
삼성SDS 변상경 보안기술실장(상무)은 “생성AI, 클라우드 등 복잡한 업무 환경에 따른 보안 위협은 반드시 전사적 위기관리 관점에서 대응해야 한다. 보안 강화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솔루션과 서비스 도입은 기업 경영의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AI·MLOps로 강화되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ML-BOM'
- [기고] 보안에 관한 생성AI vs 인간 전문성
- [2024년 전망] AI 기술격차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 판가름 할 것
- “대다수 기업, 생성AI 보호에 데이터 보안 플랫폼 활용”
- 구글 클라우드의 보안 위협 해결법 '생성AI'
- 기업 60%, 생성AI 관련 ‘보안·오용’ 사고 경험
- “사기 예방 AI 무시하면 수 조 달러 손해 위험”
- CISO 86%, "생성AI가 보안팀 문제 해결할 것"
- 생성AI 보안 기능으로 XDR 강화하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랩터'
- 생성AI 보안 강화하는 지능형 방화벽 ‘오토가드’
- 생성AI 활용 효과 높은 산업군
- 모바일 맬웨어 증가로 'AI 보안' 성장세
- 클라우드 환경 공격 대상 1위는 제조산업, 주된 공격은 “피싱·계정도용·데이터 도난”
- 2024년을 위협할 지능화되고 악의적인 6대 사이버 공격 동향
- 정교한 사이버 위협에 맞서는 “IT 팀·보안 팀” 동맹
- 신한카드-LG CNS-LG AI연구원, 차세대 AI 개발 동맹
- SAP, 클라우드 퍼스트 비즈니스 전략 지원 프로그램 발표
- 서비스나우-EY, 생성AI 거버넌스 개선 지원 협력
- [기고] 디지털 시대의 정보 무기화를 예방하는 방법
- [기고] 동전의 양면, AI 코딩
- 쿠도커뮤니케이션, 통합 보안 전략 로드쇼 진행
- DN솔루션즈-모듈웍스, 공작기계용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
- [기고] LLM 교육 자료의 저작권이 유지될까?
- 내용 손실 걱정 없는 콘텐츠 무해화 솔루션
- 서비스형 악성코드(MaaS)와 랜섬웨어(RaaS) 극성
- 해커 활동을 예방하고 예측하는 사이버 위험 관리 솔루션
- 도박 정보 파일 위장 악성코드 주의보
- 조시큐리티, 악성코드 분석 솔루션 조샌드박스 V39 ‘루비’ 출시
- AI로 복잡한 비즈니스 운영을 개선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코파일럿
- 포스페이스랩-비즈플레이,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에 ‘bzp 선물하기’ 서비스 제휴
- 가상 환경에서 작동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웹 격리 솔루션 ‘RBI’
- [기고] 기술이 주도하는 비즈니스 전략을 구축하라
- 랜섬웨어 극성, 무료 위협 인텔리전스 도구로 대비하자
-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기반 제로트러스트 관리 및 운영 솔루션 출시
- 피코콤, 웨이브 일렉트로닉스의 오픈랜 장비에 SoC 공급
- “생성AI가 직장 분열시키고 민감 정보도 노출”...구체적 가이드라인과 정책 절실
- LLM 취약점 해결해 개인정보 보호하는 안티 AI 도구
- 사람 중심 보안 ‘제로 트러스트’ 성공 전략
- 씨디네트웍스, 더 안전한 ‘클라우드 시큐리티 2.0’ 플랫폼 출시
- 생성AI로 강화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보안'
-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에 따른 보안 위협 해결책 ‘네트워크 포렌식’
- 걱정되는 클라우드 보안, ‘보안 검증 플랫폼’으로 안심!
- 열악한 인벤토리 데이터 관리 ‘감사 비용 크게 증가’
- 개발자도 접근 금지 ‘절대적인 프라이버시’ 보장
- 삼성SDS 생성AI 등판, ‘패브릭스·브리티 코파일럿’ 출시
- 삼성SDS, 생성AI로 인천국제공항공사 업무 혁신
- 클라우드 보안의 시작 ‘테너블 클라우드 시큐리티’ CNAPP 솔루션
- 상표를 보호하는 지름길 ‘트레이드 워치 애널라이저’
- 저작권 걱정 없는 'AI 학습 원천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