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시장 조사 전문기업 옴디아(Omdia)가 ‘로보틱스 하드웨어 시장 동향 2021-2030’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량이 연평균 83% 성장률로 2027년까지 1만 대를 초과해 2030년에는 3만 8천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은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 중요한 해로 평가된다. 인간을 모방하는 생성AI 트렌드로 기술적 발전이 예상되며, 특히, 여러 요소가 결합돼 ‘보스턴 다이내믹스’ 등의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로 이족 보행 인간형 로봇의 대량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정밀한 위치 제어를 담당하는 ‘서보 모터’, 동력 전달 시스템인 ‘하모닉 드라이브’, ‘센서’ 등의 주요 기술 발전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비용이 최적화됐다. 또한, ‘온디바이스 AI 컴퓨팅’의 발전으로 모션 제어, 내비게이션, 컴퓨터 비전용 AI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엔비디아는 온디바이스 AI에 대한 수요 증가를 인식하고, 로봇 자동화의 미래 가능성을 강조하고, 휴머노이드 로봇을 홍보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초기 활용은 테슬라 및 니오 등의 자동차 회사가 이 기술을 채택하면서 시작됐다. 이 로봇은 일반 제조, 물류, 소매, 식음료, 고객 서비스,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어질리티 로보틱스, 다타 로보틱스, 피규어 등 여러 스타트업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휴머노이드 로봇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로봇의 복잡성 때문에 대량 생산과 배치가 어렵고, 대부분은 아직 시험 또는 개념 증명 단계에 있어 대규모 설치까지는 수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한편,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관심은 전 세계적인 로봇 자동화 수요 증가와 맞물려 커지고 있다. 옴디아는 자동화 안내 차량, 자율 이동 로봇, 사족보행 로봇 및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업과 산업 분야의 로봇 배치로 상당한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또한, 로봇 공급사들은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로봇 설계, 개발 및 배치에 인간 중심의 설계 기획과 자동화를 적용하고 있다.
리안 지에 수(Lian Jye Su) 옴디아 애널리스트는 "로봇은 센서 융합과 내비게이션 알고리듬의 발전으로 더욱 안전해지고 있다."라며, "공급사들은 작업 훈련, 경로 계획 및 최적화, 플릿 관리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로 AI를 활용하고 있다. 예측 및 생성AI는 로봇 분야에서 AI의 민주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초대형 98/100 인치 LCD 디스플레이, 중국이 장악
- 대형 OLED, 전년 대비 '124.6%' 놀라운 성장
- 단일 파장 1.2테라비트 속도 광네트워크 솔루션
- 저가 5G 스마트폰 증가세
- 미 패치 취약점으로 데이터 유출 평균 비용 445만 달러
-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연평균 18% 성장
- 올해 OLED 소재 시장 매출 '20억 달러 초과' 예측
- 공공 디스플레이 시장, 아시아·오세아니아 증가세
- RISC-V, AI로 인해 시장 들썩
- 생성AI로 강화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보안'
- AI 수요 예측·유통 관리 시스템 ‘비-럭’... 국내 진출
- 장수풍뎅이처럼 나는 비행 로봇 '쿠비틀'
- 노동 현장에 투입되는 AI 자율형 로봇
- ‘퓨어 로보틱스 챌린지’, 기술 스타트업 115개 社 지원
- 자동화·디지털화·지속 가능성 ‘머신 센서’ 꾸준한 성장세
- 더 인간 다워진 ‘AI 로봇’...정교하고 민첩한 손과 몸 동작
- 2025년 AI 트렌드 “전문화와 지속가능성 강화”
- 사람처럼 일하는 로봇 '올뉴 아틀라스'
- ‘이미지 인식’ 보안·의료·자율주행차에서 활용도 급상승
- 자율 원격 조종 휴머노이드 로봇 ‘계약금 없이 월 단위로 임대’
- 하이버프 AI그룹, AI 로봇 무료 제공과 로봇 활용 데이터 제공시 330만원 상당 바우처 기술 지원
- 게임·메타버스·의료·자동차 산업에서 ‘비주얼 컴퓨팅’ 광폭 성장
- 인간처럼 움직이는 휴머노이드 ‘PM01’...광학 모션 캡처와 종단 간 신경망으로 진화
-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작 유연성·정확도 높이는 ‘하모닉 드라이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