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 뉴딜사업 중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해 보안성이 중요한 공공분야와 개인정보 및 산업기밀 보호가 필요한 민간분야에 대해 보안성이 뛰어난 양자암호통신 시범망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발간한 '양자정보기술백서'에 따르면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시장 규모는 연평균 39.8% 증가해 2030년에는 24조5793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넷이 국내암호모듈검증제도(이하 KCMVP) 인증 모듈이 적용된 양자통신암호화장비(이하 QENC)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보안기능확인서를 국내 최초로 발급받았다고 2일 밝혔다.

대상 장비는 전국 규모 전달망에 상용화된 테라급 POTN인 OPN-3100(2.4T급)과 OPN-1000(560G급)이다. 국제 공적표준의 MPLS-TP(다중 프로토콜 라벨 스위치)기술을 기반으로 All-IP서비스 수용할 수 있는 100G/10G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데이터를 패킷으로 묶어 전달하는 통신기술로 통신량(트래픽) 증감 속에 물리적 구성 변경 없이 장비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대상 제품은 OPN-3100(O208CLU)와 OPN-1000(O208CLU)이다.
우리넷은 보안당국과 협력하여 보안성, 안전성 검증 및 응용서비스를 발굴, 적용하여 산업 활성화를 위한 레퍼런스를 확보했다. 과기정통부에서는 지난달 26일 열린 ‘2024년 제7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4개의 혁신·도전형 R&D 사업과 2개의 우수 과학기술 인재 육성사업인 인공지능(AI), 양자 기술, mRNA 백신 개발 등을 포함한 6개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예타 면제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리넷에서 보유한 QENC와 연동되어 구성되는 양자키분배장치(QKD)는 ▲양자역학원리인 양자 상태의 중첩성(Superposition state) ▲양자 상태의 복제 불가성(No cloning) ▲측정에 의한 양자 상태 소멸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암호용으로 사용되는 비밀키(대칭난수)를 안전하게 분배한다. 통신채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여 해킹이 불가능해 안전한 통신 방법으로 알려졌다.
우리넷 관계자는 “우리넷 QENC, QKD, QKMS, PQC 등 다양한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자체 개발해 확보한 양자 보안 솔루션을 기반으로 통신사, 공공기관과의 협업 등을 통해 국가·공공분야 통신망 확대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국가사이버안보센터에서 9월에 허용한 AES 암호모듈 구현도 적극적인 개발전략으로 대응하여 국내 공공분야와 더불어 국제표준암호 AES 기반으로 글로벌 전송보안시장 진출을 전략적으로 수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양자 컴퓨팅·AI’, 데이터와 물리적 보안 강화 기반으로 부상
- 디지털 지갑·로그인 필요 없는 ‘불변의 스토리지’
- ICTK, 중기부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에 선정
- 새 양자 암호화 알고리듬에 적극 대처하는 빅 테크 기업들
- 포스트 양자 암호화 기반 네트워크 라우터 'IEG'
- RSA-스위스비트,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다중 요소 인증’ 갖춘 ‘아이쉴드 키 2’ 출시
- 우리넷-SK 브로드밴드, 개방형 양자 테스트 베드 구축·운용사업 참여
- 美 육군 주목하는 국산 ‘보안칩·양자암호·생체인증’
- ‘토스트’ 광고 악용 IE 제로데이 취약점 공격 예방법
- 과기정통부, ‘AI 시대의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제시
- 美, MS 등 주요 기관 대상 3만 5000건 DDoS 공격 배후 인프라 차단
- 10억건의 데이터 도난에 맞서는 첨단 보안 기술들
- 정부, 세계 3대 AI 국가 이정표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 출범...2028년까지 946억 원 투입
- 과기정통부, 공정한 데이터 거래 지원 '데이터 표준계약서·활용안내서' 배포
-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2026년 서비스 개시’ 목표
- 양자 컴퓨팅 위협의 불안, ‘포스트 퀀텀’ 보안으로 해소
- 주요 인프라 대상 ‘AI 기반 랜섬웨어’, 다크웹에서 불티나게 판매중
- 뜨거워지는 양자 보안 경쟁
- 양자 컴퓨팅 신뢰도 높이는 ‘ML 기반 양자 오류 완화 기술’
- 엔비디아 cuPQC로 강력해진 ‘오픈 소스 양자 암호 라이브러리’
- 양자 컴퓨터 공격 대비 PQC 기반 '엔터프라이즈 VPN 솔루션'...CNSA 2.0 준수로 장기적 데이터 안전 보장
- 사이버 위협 증가·정부 주도로 ‘양자 키 분배 시장’은 고속 성장중
- KISA-과기정통부-국정원, 영세‧중소기업 대상 무료 암호모듈 컨설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