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브랜드는 고객의 의견을 파악하고 시장 요구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데이터 수집 방식은 설문 작성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
특히,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다국어 설문을 준비하거나 빠른 피드백이 필요한 경우에는 더욱 비효율적이다. 이로 인해 기업은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와 신속성을 높이면서 고객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폼 빌더 및 대화형 데이터 수집 플랫폼 기업 타입폼(Typeform)이 양식 작성 솔루션 ‘타입폼’의 AI 기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업데이트된 AI 제품군에는 ▲크리에이터 AI ▲인터랙션 AI ▲인사이트 AI가 포함된다. 이 기능은 폼 생성, 상호작용 및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빠르고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① 크리에이터 AI
크리에이터 AI는 폼 제작과 디자인 과정을 자동화한다. “짧은 고객 만족도 설문지를 만들어줘.”와 같은 간단한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즉시 최적화된 설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기능에는 ‘AI 폼 빌더’를 활용한 질문 자동 생성, ‘AI 폼 가져오기’로 구글 폼에서 간편한 데이터 전환, 기업 웹사이트 URL로 브랜드 색상 및 로고 자동 적용하는 ‘AI 브랜드 키트’, 25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 ‘AI 폼 번역’, 질문의 명확성을 높이는 ‘AI 콘텐츠 최적화’가 있다.
② 인터랙션 AI
인터랙션 AI는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고객이 “만족한다.”처럼 간단한 답변을 입력하면 AI가 자동으로 후속 질문을 추가해 더 깊이 있는 응답을 유도한다. 이는 응답의 명확성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추가 질문을 제공하는 ‘AI 기반 명확성 확보’ 기능을 기반으로 작동된다.
③ 인사이트 AI
인사이트 AI는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AI 질의응답’ 기능으로 단순한 질문을 입력해 데이터를 즉시 시각화하고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제 감지’ 기능으로 대량의 자유 형식 텍스트와 동영상 응답에서 트렌드를 탐색할 수 있으며, ‘감정 분석’ 기능은 응답의 긍정·중립·부정 감정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닫힌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정량 분석’ 기능으로 시각적인 차트와 보고서로 변환돼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폼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브랜드 일관성 유지하며, 글로벌 사용자와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참여를 강화하고 신속한 전략을 세울 수 있다.
타입폼 알렉스 바스(Aleks Bass) 최고 제품 책임자(CPO)는 “최신 AI 기능은 몇 분 안에 폼을 만들고, 즉시 인사이트를 파악하며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라며 “데이터 관리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 창출에 집중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생명과학 특화 ‘AI 기반 문서 요약 솔루션’...문서프로세스 간소화·규정준수·고품질 표준유지
- ‘법률 문서 작성 AI’, 복잡한 법률·비즈니스 문서 초안 몇 초면 완성
- 생성AI 한계 넘는 ‘문단 검색 API’...정확도·보안↑환각↓
- 복잡한 비즈니스 거래 문서 작성 자동화 SW...업무 간소화·생산성↑
- 기업 보안 문서 분석 생성AI...제3자 위험 평가 및 보안성 강화
- 방대한 보험 문서 자동화 솔루션...프로세스 주기 90%↓·고객 전환율 50%↑
- 업무 생산성·효율성 극대화 3대 AI 에이전트...법률 문서 요약·데이터 보호·문서 데이터 교정
- 이미지 추출·제목과 캡션인식 기능으로 편의성·정확성 높인 AI 문서 분석 솔루션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
- 공공·민간 기업용 ‘AI 문서 번역 솔루션’ 135개 언어 번역에 워크플로우 자동화까지
- 기업 브랜딩·마케팅·업무효율 높이는 ‘AI 이메일 서명 관리 솔루션’
- AI 기반 ‘문서 워크플로 및 제안서 자동화 통합 플랫폼’...시간 줄고 정확성 높여
- AI·인간 전문 지식 결합 ‘적응형 번역 기술’, 웹사이트 현지화로 해외진출 지원
- 자연어 기반 영업지원 자동화 CPQ 솔루션...영업 속도·정확도↑
- 수익화 가능한 AI...지식 기반 AI로 수익과 창작자 영향력 동시 실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