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가 지난 14일 17개 시‧도 및 관계부처(기재부, 교육부, 산업부, 중기부, 지방시대위원회)와 함께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5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2024년에는 총 6조 506억 원(중앙정부 5조 545억 원, 지자체 9천 961억 원)을 지역에 투입해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육성에 2조 1천 75억 원, 지역대학·연구기관의 거점화에 1조 3천 41억 원을 중점 투자했다.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은 디지털 헬스케어(강원), 우주산업(경남), 미래 모빌리티(전북), 수소에너지(충남) 등 신산업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는 성과를 창출했다.
이와 함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도입은 지자체의 행정·재정적 권한을 확대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학연 공동연구소·학연 공동기술이전센터 설립은 대학과 출연연 간 협업을 확대했다.

2025년에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총 6조 6천 528억 원(중앙정부 5조 6천 914억 원, 지자체 9천 614억 원)을 투입한다. 창업·기업 경쟁력 제고에 1조 6천 210억 원, 지역 대학·연구기관의 거점화에 1조 5천 153억 원, 지역 교육 및 산업 활성화에 1조 801억 원을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더불어, 지자체별로 수립한 과학기술혁신계획 기반으로 기획된 지자체 주도의 2026년 신규 사업(안)은 소관 부처와 예산을 연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기술혁신허브 선정, 지역혁신선도기업 육성 등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을 키우고, 초격차 산업분야의 신제품·서비스 개발 등에 관한 상용화 R&D를 지원하는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메가시티에는 충청권, 대경권, 호남권, 동남권, 강원, 전북, 제주가 포함된다.
정부는 지역과 함께 전략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지역 인재 육성, 산·학·연 협력 강화 등 지역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번 시행계획으로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혁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비면허 주파수 활용 유망 기술 실증 사업’ 공모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개발·창작자 양성 아카데미’ 교육생 모집
- 과기정통부, ‘AI기본법’ 하위범령 정비단 본격 출범...민관 투자 활성화 기대
- 과기정통부,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6조 3214억 원 투자
- “현재와 미래의 디지털 핵심 기술, 인공지능·인공지능 반도체·양자 기술”
- 전 국민 디지털 권리 보장하는 ‘디지털포용법’
- 과기정통부 ‘AI 기본법’, 국회 본회의 통과
- 과기정통부, ‘2024년 국가 대표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공개
- 삼성전자가 획득한 과기정통부 ‘IoT 보안 인증’
- 과기정통부-한국은행-금융위, CBDC 활용 '디지털 금융서비스 실증' 사업 협력
-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2026년 서비스 개시’ 목표
-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사고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과기정통부, 공정한 데이터 거래 지원 '데이터 표준계약서·활용안내서' 배포
- 과기정통부, ‘AI 시대의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제시
- 인공지능기술로 사기전화 예방
- 센스톤 ‘단방향 다이내믹 인증 기술’, 과기정통부 장영실상 수상
- 국정원-과기정통부, '국가 SW 공급망 보안 TF' 발족
- 과기정통부, 국내 AI·디지털 스타트업 미국 진출 지원 사업 공모
- 과기정통부, 국내 산·학·연 대상 고성능 AI 컴퓨팅 지원 사업 추진
- AI 강국으로의 도약, 1.9조 규모 AI 추경안 국회 통과
- 국내 AI 생태계 강화 위한 GPU 1.3만장 확보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