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1조 9,067억 원 규모의 추경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안은 정부안 대비 618억 원이 증액된 규모로,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인공지능 컴퓨팅 기반을 확충하고, 차세대 AI 모형 개발과 인재 양성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연내에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 1만 장을 확보하고, 민간 보유 GPU 3,000장을 임차해 국가적으로 필요한 AI 컴퓨팅 자원을 신속히 확보할 방침이다.
또한,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실증 사업을 확대한다. '25년까지 실증 예산을 871억 원으로 대폭 증액하여, 국내 유망 AI 반도체 기업들이 신경망 처리 장치(NPU)의 상용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모형 개발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거대언어모형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을 통해 국내 5개 팀을 선정하고, 그래픽 처리 장치, 데이터, 인재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연구자 유치를 위해 최대 연 20억 원을 지원하는 'AI Pathfinder 프로젝트'도 함께 진행된다.
또한, 혁신 AI 인재들이 겨루는 '국제 인공지능 경진대회'를 개최하며, AI와 과학기술 융합 분야의 국제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AI 분야 창업 초기기업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 혁신 기금'의 정부 예산을 1,000억 원으로 증액하고, 인공지능 기술 사업화와 전환의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인공지능 주도권을 둘러싼 국제 경쟁 속에서 시급한 예산이 확보됐다"며, "이번 예산 집행을 통해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국내 AI 스타트업 “해외 실증 기회 지원”
- 과기정통부, 삼성전자·SK하이닉스·DB하이텍과 반도체 R&D 통합 생태계 구축
- 과기정통부, 국내 산·학·연 대상 고성능 AI 컴퓨팅 지원 사업 추진
- 과기정통부, 국내 AI·디지털 스타트업 미국 진출 지원 사업 공모
- 과기정통부, 지역 과학기술 혁신에 6.6조 원 투자...전년 대비 10% 증가
- 과기정통부, ‘AI기본법’ 하위범령 정비단 본격 출범...민관 투자 활성화 기대
- 과기정통부, 2030년까지 AI 신진연구자 460억 지원...산학 공동연구 추진
- 과기정통부, 2025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6조 3214억 원 투자
- “현재와 미래의 디지털 핵심 기술, 인공지능·인공지능 반도체·양자 기술”
- 과기정통부 ‘AI 기본법’, 국회 본회의 통과
- 분산형 GPU 기반 AI 컴퓨팅 기술...AI 컴퓨팅 자원 부족 문제 해결
- AI 시대의 HR 전략...채용부터 재교육까지 전략적 사고·AI 이해 증진 필요
- 국내 AI 생태계 강화 위한 GPU 1.3만장 확보 본격화
- 과기정통부, 2025 혁신도전형 APRO 연구개발 사업군 추가 지정
- 이재명 정부, 2026년 역대 최대 35.3조 연구개발 예산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