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크롬 브라우저의 자동 로그인 기능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패치를 배포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패치는 브라우저 내 사용자 계정정보의 암호화를 강화하여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계정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크롬 브라우저는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에서 66.16%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그 취약점이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KISA는 구글과 협력하여 신속한 패치 개발을 추진했다. 사용자는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을 사용하여 자동 로그인을 통한 계정정보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번 패치는 윈도우 버전의 크롬 브라우저 133버전 이상에 적용되며, 자동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 설정 메뉴를 통해 수동 업그레이드도 가능하다. KISA 이상중 원장은 많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는 자동 로그인 기능을 악용한 해킹 공격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신속한 업데이트 적용을 당부했다.
KISA는 사이버 위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업과 협력하여 취약점을 조기에 탐지·조치함으로써 국민의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용자는 KISA의 보호나라 누리집과 크롬 공식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KISA, 중소기업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무료 컨설팅 제공
- KISA-한전KDN, 에너지 분야 공급망 보안 강화 협력
- KISA, 2025 블록체인 밋업 콘퍼런스개최
- KISA-KOIPA, 수출기업 대상 도메인이름 분쟁대응 협력 강화
- 윈도우·리눅스 해킹 사고 진단, KISA 해킹 진단 도구로 더 간편하게!
- KISA-과기정통부-국정원, 영세‧중소기업 대상 무료 암호모듈 컨설팅 추진
- KISA–KIIA, 지능형 CCTV 산업 육성 및 글로벌 진출 협력
- 해외 스미싱 공격 실시간 방어하는 ‘애트리넷 URL 스캐너’
- KISA, 현장 특화 ‘지능형 물리 보안 시스템’ 개발 참여
- “현재와 미래의 디지털 핵심 기술, 인공지능·인공지능 반도체·양자 기술”
- [2025년 전망] 핵심 보안 전략 ‘제로트러스트,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
- 한국인터넷진흥원-대만인터넷정보센터, 사이버보안 강화 국제 공조
- KISA, 선박 사이버 안전성 강화 기술 개발 착수
- KISA, ‘암호모듈’ 개발 인력 양성 무료 전문 교육과정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