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기술(OT) 환경에서의 사이버보안 위협은 산업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제조,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서는 보안 사고 발생 시 생산 중단과 막대한 재정 손실이 초래될 수 있어 지속적인 위협 탐지와 신속한 대응 역량이 필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OT 전용 보안 모니터링과 대응 체계를 갖춘 서비스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업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이 RSAC 2025에서 새로운 OT 사이버보안 모니터링 및 대응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 서비스는 로크웰 오토메이션 OT 보안 운영 센터(SOC)의 지원을 기반으로, 연중무휴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위협 탐지, 전문가 주도 대응을 통해 산업 조직이 사이버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탄력적인 운영을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지속 모니터링과 신속 대응으로 운영 리스크 최소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신규 서비스는 OT 환경의 고유한 요구사항에 최적화되어 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연중무휴 실시간으로 잠재적 위협을 탐지하며, 고급 분석을 적용해 경보 우선순위를 정하고 조사하여 원시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통찰력으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보안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 시 로크웰의 OT 사이버보안 분석가들이 단계별 지침과 입증된 대응 전략을 제공하여 피해를 최소화한다.
또한 이 서비스는 포괄적인 월간 경영진 요약 및 분기별 비즈니스 리뷰를 통해 보안 상태에 대한 투명한 보고를 지원한다. 확장 가능한 모듈형 설계로 각 고객의 환경과 요구사항에 맞춰 유연하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중단, 가동 중단 시간, 잠재적 재정적 손실을 줄이고, 일상적인 보안 작업을 자동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OT 보안 전문 인력 확충 및 실시간 가시성 제공
최근 스마트 제조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보안 리스크와 숙련된 보안 인력 부족은 제조업계가 직면한 상위 5대 외부 장애 요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험이 풍부한 OT 사이버보안 분석가 전담팀을 통해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고객 팀의 연장선상에서 보안 태세를 강화한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닉 크레쓰(Nick Creath) 사이버보안 서비스 수석 제품 관리자는 "사이버 위험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제조업체는 지속적인 경계와 전문성을 필요로 하지만 자원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라며 "보안 모니터링 및 대응 서비스는 고객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리고 주요 비즈니스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전 세계 제조업 겨냥 사이버 공격 증가...보안 준비는 절반도 안 돼”
- 2025년 기업이 대비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AI피싱, 장기 방치된 계정, 랜섬웨어, 오픈소스, OT/IoT"
- OT 자산의 숨겨진 위험 평가법 'CSAV'...자산 매개변수 기반 보안 태세 평가로 정확성↑
- 위협 인텔리전스·글로벌 거버넌스 탑재된 ‘OT 보안 플랫폼’
- 산업 현장의 92%, “원격 액세스 위협 직면, 최대 150만 달러 손실 발생”
- HPE 아루바 네트워킹, IoT 보안 강화한 리테일용 네트워킹 포트폴리오 공개
- OT와 산업제어 시스템 보안 강화 5대 전략
- ‘위치 분석 도구’ 가속 성장...고객 행동 이해·효율성↑
- [RSAC 2025]빠르고 정확하게 사이버 위협 조사하는 ‘AI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 [RSAC 2025] ‘데이터 상시 암호화 플랫폼’...데이터 모든 상태 강력 보호
- [RSAC 2025]‘AI 기반 다계층 모바일 봇 방어 솔루션’...실시간 위협 분석으로 모바일 API 보안 강화
- ‘연결성·컴퓨팅·확장성·보안’ 결합 ‘지능형 자동화 제어기’...기존 PLC 대체, 스마트 제조 혁신
- OT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하는 ‘SeCOT+’ 인증
- 로크웰 오토메이션, 생명과학·제조 산업 민첩성·규제 대응 강화하는 차세대 MES 기술출시
- 데이터의 실시간성·보안성·유연성 강화한 에지 게이트웨이 ‘옵틱스엣지’...제조 현장 업무효율↑
- 스마트 제조 시대, 자동차 업계 AI 활용도·기술 수용도 급상승
- “OT 기반 의료기기 보안 위협 급증, 실시간 보호 기술 시급”
- [Success Story]기아 슬로바키아, 차체 공정 자동화 현대화에 로크웰 오토메이션 키네틱스 적용
- 산업시설 겨냥한 AI 위협 확산, 산업 현장용 실습형 보안 플랫폼 등장
- IT보다 10~15년 뒤처진 산업 보안...임베디드 하드웨어 중심으로 전환 가속
- 산업 인프라 보안, 이제 중앙 통제형 액세스가 필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