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노후화된 인프라, 인구 밀집 등으로 인해 상수도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과 수질 안전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는 누수 사고와 수질 이상 문제는 신속한 대응 체계와 지능형 관리 기술의 필요성을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실 상수관망을 가상공간에 구현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실시간 분석·대응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스마트 상수도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센소리움연구소와 협력해 디지털트윈 기반 AI 상수도 관제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현실 상수도관망을 가상공간에 정밀 구현해 수압·유량 등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누수·수질 이상 등을 조기에 감지하는 디지털트윈 기반 기술을 상수도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ETRI는 AI 알고리듬과 통합 관제 시스템 개발을 총괄하며, 스마트 도시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핵심 기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시스템 관련으로 회의하는 모습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시스템 관련으로 회의하는 모습

ETRI는 1단계 실증을 통해 대구 북구 지역에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도 관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누수 탐지 ▲수질 이상 감지 ▲상수관망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센서 기반의 자동 경보로 선제적 대응과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였다.

이번 2단계 실증사업에서는 대구 군위 지역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다양한 지형과 환경에서 기술의 확장성과 실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DGIST는 센서 및 로봇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현장 실증 연계를 지원하고, 대구시는 실증 기반 제공과 함께 스마트 수돗물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ETRI는 향후 AI 알고리듬과 관망 시뮬레이션 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전국 지자체 대상 확산을 위한 정책 기반 마련에도 나설 계획이다.

ETRI 변우진 대경권연구본부장은 “AI와 디지털트윈을 결합한 물관리 기술은 단순한 시스템 고도화를 넘어, 도시 인프라 운영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 전환을 의미한다. 세 기관의 협력을 통해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물서비스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