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문서 작성 솔루션 시장은 기존의 범용 챗봇 중심 구조에서, 기업 환경에 특화된 전문 플랫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초기에는 챗GPT(ChatGPT)와 같은 범용 생성AI가 기업 환경 전반에 도입됐지만, 실제 업무 흐름에 맞지 않는 복잡한 복사·붙여넣기, 팀 협업 기능 부재,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미흡 등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대체 수요가 커지고 있다. 

현재 챗GPT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50%에서 2024년 34%로 하락했다. 미국 내 생성AI 챗봇 시장에서는 여전히 약 60%를 차지하고 있지만, 경쟁 플랫폼의 점유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구글 제미나이(Gemini)는 7%에서 13.5%, 앤트로픽(Anthropic)의 클로드(Claude)는 12%에서 24%로 상승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Microsoft Copilot)은 14.4%, 퍼플렉시티(Perplexity)는 6.2%의 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범용 기능보다는 업무 적합성과 목적성을 기준으로 플랫폼을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기반 문서 자동화 플랫폼 기업 트랜스크립터(Transkriptor)가 자사 ‘에스크리터(Eskritor)’가 기업용 콘텐츠 생산에 최적화된 전문 AI 문서작성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스크리터 화면
에스크리터 화면

범용 AI의 한계를 보완하는 특화형 기능

에스크리터는 범용 생성AI 솔루션이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워드(Word) 문서와 PDF 파일을 직접 업로드 및 편집할 수 있으며, 문서 버전 관리와 콘텐츠 이력 추적 기능도 지원한다. 복사·붙여넣기 중심의 불편한 작업 환경 없이 업무 연속성을 보장한다.

또한, 기업 브랜드 가이드를 반영한 맞춤형 프롬프트 기능을 제공해, 콘텐츠의 일관성과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국어 40개국 이상을 지원해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 보이스를 각국 시장에 맞춰 일관되게 전달할 수 있다. 팀 기반 공동 작업 기능, 공유 워크스페이스, 승인 워크플로,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등도 포함돼 있다.

에스크리터는 음성 입력 기반 콘텐츠 작성 기능, 손글씨 문서 스캔 후 편집 가능한 텍스트로 전환하는 AI 기반 문서 인식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보도자료 작성기, 광고 문안 생성기, 제품 설명 작성기, 소셜미디어 콘텐츠 도구 등 다양한 마케팅 특화 도구도 기본 탑재돼 있다.

기업 환경에 적합한 보안·확장성·통합성 제공

이 플랫폼은 기업 시스템과의 통합을 지원하며,  SOC 2 및 GDPR 표준을 준수 주요 글로벌 규제를 충족하는 데이터 암호화와 감사 추적 기능도 기본 내장돼 있다. 일반 사용자 대상 가격 모델이 아닌, 기업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요금 체계를 제공한다.

에스크리터는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트러스트파일럿(Trustpilot)에서 5점 만점에 4.8점을 기록했다.

에스크리터 버카이 크나츠(Berkay Kınacı)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범용 AI가 처음에는 인상적이었지만, 기업들은 곧 실제 워크플로에 맞는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라며 “문서관리, 팀 협업, 브랜드 일관성과 같은 요구를 이해하는 특화형 도구에 대한 수요가 실제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