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이 물류 산업을 재편하면서 드론을 활용한 공중 배송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도서산간 지역, 고령화 마을, 야간 물류 취약 시간대 등 기존 물류망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으로 드론배송이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과 야간 운항 등 법제도 정비와 기술 실증을 병행하며, 드론 물류의 상용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항공안전기술원(Korea Institute of Aviation Safety Technology, 원장 황호원)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항공안전기술원이 수행하는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을 통해 지난 4월부터 전국 각지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2019~)의 연장선에서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 총 23개 지자체에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연속 참여 지자체는 13곳, 새롭게 참여한 지자체는 10곳이다.
전국 확산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표준화 기반 구축
이번 사업에는 양주시, 성남시, 통영시, 울주군, 제주특별자치도 등 기존 참여 지자체 외에도 시흥시, 원주시, 대전광역시, 김제시 등 신규 지자체가 대거 포함됐다. 이를 통해 61개의 배송 거점과 229개의 배달점을 구축하며 전국적인 드론배송망이 본격 가동되고 있다.
항공안전기술원은 각 지자체의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해 전담 PM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 및 수시 점검을 통해 드론배송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K-드론배송 표준안’을 적용해 GPS 좌표 기반 이착륙장 및 컨테이너 등의 시설물 설치, 비행로 설계 및 검증, 실시간 드론 위치 확인, 식별장치 연동 등 전반적인 인프라와 운용체계를 표준화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기체 자동 점검 시스템과 드론 배터리 안전함이 배송 거점에 도입돼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도 기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폭염 및 과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비가시권·야간 비행에 대해 최대 6개월까지 특별비행승인을 받을 수 있어, 물류 취약 시간대나 장거리 배송 서비스의 가동률을 높이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수요 맞춤형 확대와 지역 특화형 공공서비스 도입
연속 지자체 13곳은 지난해 주민 의견을 반영해 배송 품목을 다양화하고, 배송 가능 무게를 상향하는 등 수요 맞춤형 개선에 나서고 있다. 또한 배송 외에도 드론 순찰, 보건의료 물품 전달, 공공행정 지원 등 다양한 지역 특화형 공공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황호원(KIATA, Hwang Ho-won) 원장은 “K-드론배송 서비스가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생활 물류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드론배송이 상용화돼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드론 기술의 실질적 활용과 공공 물류 혁신의 접점으로 작용하며, 기술 실증과 함께 제도적 기반을 갖춘 전국 단위 드론 물류망 구축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향후 드론배송 서비스는 공공서비스를 넘어 민간 물류 산업으로의 확산도 기대되고 있다.
관련기사
- ‘에지 AI SW’ 시장, 클라우드 의존 줄이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혁신하며 연평균 28.8% 급성장
- 파편화 영상·암호화 디스크까지 복원하는 고해상도 영상 복구 솔루션...스캔 속도 25%↑
- AI 기반 휴대용 위협 감지 키트로 총기·드론·침입 실시간 탐지
- 건설 산업 차세대 기술 ‘지속가능성·XR·AI·로봇공학 및 드론’
- ‘인간-AI 협업’ 플랫폼으로 드론 스웜 방 무기·보안 솔루션 개발
- 90Kg·100분 운송 ‘산업용 드론’...‘장거리 비행·고하중 탑재’로 산업용 드론 한계 극복
- 자율 드론·AI 융합으로 강화되는 물리 보안...하늘에서 실시간 위협 탐지·대응
- SAS 바이야 플랫폼과 통합된 ‘윈나우’...금융권 신용 리스크 대응
- 다중 센서 융합된 AI 기반 올인원 액티브 카메라...로봇 비전 진화 가속
- 초저전력 고성능 AI 모듈, 에지 디바이스 혁신
- AI 통합 ‘CCTV 감시 시스템’...잠재적 위협 감지 및 대응, 확대 방지
- 강력한 전자戰 작전수행하는 AI 무인 플랫폼
- 보안과 규정 준수 강화된 미 연방정부 승인 드론
- 에이전트끼리 협력하는 ‘군집 지능’...연평균 성장률 34%로 괄목상대 성장세
- ETRI, 공중이동체 기반 대용량·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개발
- 좁고 위험한 공간도 문제 없는 다용도 ‘실내 검사 드론’...안전성·성능↑비용↓
- 드론 위협 대응, 사이버와 레이더 결합한 다층 방어로 해결
- 100% 방수·AI 추적·휴대성 결합한 핸즈프리 항공 카메라 '호버에어 아쿠아'...수상 스포츠 항공 촬영 혁신
- KISA-제주자치경찰위원회-한국레이더시스템, 스마트 치안 드론 영상분석 AI 성능 고도화 협력
- 하늘을 지키는 AI, 비행 중 드론 공격 실시간 차단 기술 등장
- 고정밀 항공 라이다 시스템 ‘DJI 젠뮤즈 L3’, 하루 최대 100km² 매핑 지원
- 손바닥 이륙·전방위 감지 초경량 드론 ‘DJI 네오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