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이 물류 산업을 재편하면서 드론을 활용한 공중 배송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도서산간 지역, 고령화 마을, 야간 물류 취약 시간대 등 기존 물류망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으로 드론배송이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과 야간 운항 등 법제도 정비와 기술 실증을 병행하며, 드론 물류의 상용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항공안전기술원(Korea Institute of Aviation Safety Technology, 원장 황호원)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항공안전기술원이 수행하는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을 통해 지난 4월부터 전국 각지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시했다고 밝혔다.

드론 배송 거점 및 드론 자동 점검 시스템
드론 배송 거점 및 드론 자동 점검 시스템

이 사업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2019~)의 연장선에서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 총 23개 지자체에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연속 참여 지자체는 13곳, 새롭게 참여한 지자체는 10곳이다.

전국 확산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표준화 기반 구축

이번 사업에는 양주시, 성남시, 통영시, 울주군, 제주특별자치도 등 기존 참여 지자체 외에도 시흥시, 원주시, 대전광역시, 김제시 등 신규 지자체가 대거 포함됐다. 이를 통해 61개의 배송 거점과 229개의 배달점을 구축하며 전국적인 드론배송망이 본격 가동되고 있다.

항공안전기술원은 각 지자체의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해 전담 PM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 및 수시 점검을 통해 드론배송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K-드론배송 표준안’을 적용해 GPS 좌표 기반 이착륙장 및 컨테이너 등의 시설물 설치, 비행로 설계 및 검증, 실시간 드론 위치 확인, 식별장치 연동 등 전반적인 인프라와 운용체계를 표준화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기체 자동 점검 시스템과 드론 배터리 안전함이 배송 거점에 도입돼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도 기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폭염 및 과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비가시권·야간 비행에 대해 최대 6개월까지 특별비행승인을 받을 수 있어, 물류 취약 시간대나 장거리 배송 서비스의 가동률을 높이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수요 맞춤형 확대와 지역 특화형 공공서비스 도입

연속 지자체 13곳은 지난해 주민 의견을 반영해 배송 품목을 다양화하고, 배송 가능 무게를 상향하는 등 수요 맞춤형 개선에 나서고 있다. 또한 배송 외에도 드론 순찰, 보건의료 물품 전달, 공공행정 지원 등 다양한 지역 특화형 공공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황호원(KIATA, Hwang Ho-won) 원장은 “K-드론배송 서비스가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생활 물류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드론배송이 상용화돼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드론 기술의 실질적 활용과 공공 물류 혁신의 접점으로 작용하며, 기술 실증과 함께 제도적 기반을 갖춘 전국 단위 드론 물류망 구축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향후 드론배송 서비스는 공공서비스를 넘어 민간 물류 산업으로의 확산도 기대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