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채용 시장은 인재 부족과 경쟁 심화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과 함께 채용 과정의 효율성·투명성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생성AI를 활용한 채용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채용 절차는 지원자 증가와 불일치하는 채용 속도로 인해 담당자의 번아웃과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AI 기반 채용 플랫폼은 기업이 채용 비용을 절감하고 지원자 경험을 개선하는 동시에 채용 담당자 생산성을 높이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글로벌 인재 채용 기술 기업 아이심스(iCIMS)가 보고서 ‘아이심스 인사이트 8월 워크포스 리포트(iCIMS Insights August Workforce Report)’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인사(HR)·채용·인재 관리 분야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 기관 라이트하우스 리서치앤드어드바이저리(Lighthouse Research & Advisory)와 공동으로 고용주 및 지원자 2013명의 AI 채용 경험·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업무 효율성과 채용 속도 개선
보고서에 따르면 AI를 도입한 기업의 약 24%는 주당 5시간 이상을 절약했으며, AI 비도입 기업에서는 이 수치가 13%에 불과했다. 또한 도입자의 64%는 채용 담당자 1인당 주당 2시간 이상 절약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채용 효율성에서 뚜렷한 차별화를 보여주며,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채용팀이 AI를 활용할 경우 절감한 시간을 후보자 소통(54%)과 채용 지표 분석(41%)에 재투자한다고 밝혔다. 또한 AI는 대규모 스크리닝(55%)과 매칭(40%)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반면, 최종 제안 단계에서는 여전히 인간의 판단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 인식, 세대별로 극명하게 갈려
후보자 설문조사에서는 AI 채용 경험과 인식의 세대별 격차가 두드러졌다. 밀레니얼 세대(62%)와 Z세대(59%)는 AI가 채용 속도를 높인다고 응답한 반면, X세대는 47%, 베이비부머 세대는 41%로 낮았다.
AI의 공정성에 대해서도 Z세대·밀레니얼의 44%가 긍정적 평가를 내렸지만, X세대(21%)와 베이비부머(18%)는 회의적이었다. 다만, 전체 응답자의 82%가 “AI가 지원서를 평가하는 방식에 대해 알고 싶다”고 밝혀, 채용 과정에서의 AI 활용 투명성 확보가 모든 세대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아이심스 트렌트 코튼(Trent Cotton) 인재 채용 인사이트 부문 책임자는 “성공적인 채용 전략은 조직이 AI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을 전제로 해야 한다.”라며 “AI가 개입하는 지점과 최종 판단에 인간이 개입하는 영역을 후보자에게 명확히 알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실제 채용 감소와 AI 도입 효과
보고에 따르면 2024년 7월 이후 구인 공고는 5%, 지원서는 7% 증가했으나 실제 채용은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 이는 지원자 수가 늘어도 채용 소요 시간 지표가 정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인재 부족과 불일치는 채용 담당자의 피로와 조직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기업은 AI 채용 도입을 통해 이를 해결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아이심스는 자사 고객 사례를 통해 AI 도입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웬디스컴퍼니(Wendy’s Company)는 아이심스의 AI 기반 인재 탐색기(iCIMS AI Talent Explorer) 를 활용하여 비도입 기업 대비 최대 3배 빠른 채용 성과를 거뒀다고 발표했다. 이 데이터는 아이심스가 자사 고객의 실제 운영 성과를 근거로 제시한 내용이다.
채용 분야에서의 AI 활용은 단순한 효율성 향상을 넘어 기업과 사회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첫째, 기업 차원에서는 채용 프로세스의 속도와 품질이 향상되어 인재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둘째, 산업 전반에서는 채용 비용 절감과 투명성 강화로 HR 기술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관련 스타트업 및 글로벌 기업 성장으로 이어진다. 셋째, 사회적으로는 세대별 인식 차이가 드러남에 따라 고용 공정성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기업이 지원자와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관련기사
- 대규모·글로벌 채용, ‘AI 인터뷰 인텔리전스 에이전트’로 채용 공정성·속도↑
- AI 채용 자동화 플랫폼, 채용 시간 40% 단축
- AI 기반 채용 솔루션, 워크데이 가트너 인재 확보 제품 부문 리더로 선정
- 채용 선정 70%↑채용 비용 80%↓ AI 기반 채용 증강 플랫폼 ‘앤’
- AI 통합 가속화에 MBA 졸업자 인기...문제해결·전략사고 역량이 경쟁력
- 지능형 채용 자동화 플랫폼...최대 3배 채용시간 단축· 최대 55% 비용 절감
- 글로벌 채용 경쟁, API 기반 인력 데이터가 기업 성장 좌우
- AI 업무 지도화, 자동화 강화·조직 혁신 동시 달성
- [기고문]성공적 AI 확산의 세 가지 조건
- 비효율 절차로 지원자 60% 채용 과정서 이탈...AI·자동화가 해법
- 인터뷰 실시간 기록·분석·보고까지, AI 기반 채용 기술 진화
- AI 채용 소프트웨어, 인재 확보의 판도를 바꾸다
- AI 대체 가속, 2026년 기업 30%가 ‘AI 인력 전환’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