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가 북미 은행 임원과 소비자들이 은행업의 생성AI에 대안 인식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생성AI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350명의 은행 임원과 2000명 이상의 미국 은행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은행 임원의 92%는 은행 업계 내에서 생성AI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답했으며, 95%는 AI가 업계를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응답자의 96%는 생성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최고 경영진과 이사회 등 고위 경영진이 기술 및 IT 결정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소비자 사이에는 세대 간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44세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응답자의 45%가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소 편안’하거나 ‘매우 편안’하다고 답했다. 반면 55세 이상 소비자들은 20%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모든 연령대의 소비자가 은행에서 개선하거나 추가하기를 원하는 경험으로는, 더 스마트하고 유용한 AI 챗봇(20%), 더 빠르고 자동화된 신용카드 신청과 승인(18%), 금융 포트폴리오에 대한 360도 뷰(16%) 등이 상위권으로 꼽혔다.

생성AI의 가장 큰 이점은 비용 절감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은행 경영진에 따르면 생성AI가 업계에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운영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49%)이다. 특히, 국립 은행 임원의 38%가 향후 5년 동안 생성AI가 61~80%의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들이 밝힌 다른 이점으로는 데이터 분석과 예측 분석 개선(45%), 사기 탐지와 보안 개선(44%)이 있었으며, 소비자들의 33%는 잠재적인 개선 사항으로는 카드 사기 탐지를 꼽았다.
은행 임원의 47%는 생성AI 구현의 개념 증명 단계에 있다고 답했으며, 35%는 사용 사례를 시험 및 테스트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 임원 응답자들에 따르면 생성AI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업계에 통합되고 있다.
•이메일, 문서, 프레젠테이션 응답 등 직원 생산성과 관련된 콘텐츠 생성(57%)
•광고, 제안, 소셜 게시물 등과 같은 새로운 마케팅 콘텐츠 또는 캠페인 작성 지원(55%)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용 코드 생성 지원(50%)
•재무보고서나 사업설명서 등 복잡한 재무정보를 요약(49%)
•고객 브리핑 및 신속한 투자 의사 결정을 위한 자본 시장 조사 요약(49%)
•고객 상호 작용을 위한 챗봇 및 가상 도우미 강화(48%)
•위험 시나리오 예측 모델링(40%)
응답자들은 생성AI가 투자 연구(41%), 더 효과적인 마케팅/고객 세분화(38%), 더 나은 고객 확보와 유지 전략(38%)을 개선함으로써 가장 중요한 매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추정했다.
은행 임원들, AI 관련 인재 적극 채용
생성AI 도구 구현을 준비하기 위해 은행 임원들은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기 위한 기술에 투자하고(49%), AI 데이터 정책을 업데이트하며(49%), 생성 AI의 가치에 대해 규제 기관과 논의하고 있다(45%)고 답했다.
국립은행 은행 임원의 56%가 기업 기밀 데이터를 AI 언어 모델로 유출하는 등의 데이터 보안 문제를 생성AI 도입 시 가장 큰 우려 사항으로 꼽았고, 지방 은행의 50%는 인재와 기술의 격차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99%는 생성AI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국립 은행 임원의 58%는 대규모 채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 임원들이 고용할 계획인 역할로는 AI 품질 보증 테스터(34%), AI 전략 컨설턴트(32%), AI 제품 관리자(30%)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장 원하는 기술로는 클라우드에 대한 지식(49%), AI 윤리·규정·준법에 대한 이해(49%), 프로그래밍 언어 기술(48%), AI 알고리듬과 모델의 이해(44%), 비즈니스 AI의 교차점에 대한 이해(44%)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현재 및 예상되는 규제 변화에 대비
응답자들은 규제 준수 불확실성(39%)도 업계에서 생성AI를 도입하는 데 가장 큰 단점 중 하나지만, 현재 및 예상되는 규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취하고 있다고 답했다. 위험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차세대 AI 파트너와 협력하고(36%), 고급 암호화와 데이터 보안 기술에 투자하며(35%), AI 기반 위협 탐지 및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34%)이 이에 포함된다.
은행 임원들에 따르면 IT 지출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응답자의 40%는 생성AI로 인해 향후 1~2년 동안 IT 예산이 26~50% 증가해야 한다고 답했다. 은행 임원의 93%가 자신의 조직이 차세대 AI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향후 6~12개월 내에 AI 기술 제공 업체와 파트너십을 맺을 계획이라고 답했기 때문에 해당 예산의 일부는 AI 파트너십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AI 활용 확대로 광폭 성장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 LLM'
- [기고] B2B 협업을 강화하는 블록체인 기술
- 사이버 보안 시장의 AI, 2032년 ‘1548억 달러’
- 소비자 70%, 디지털 사기 피해 경험 있다
- 인간과 대화하면서 서비스하는 ‘홀로그램 디지털 휴먼’
- 높아지는 사이버 보안 우려, "사기탐지 및 예방시장 연평균 24.3% 급성장"
- [Success Story] WTA, SAP BTP로 데이터 전략 현대화 추진
- 국내 경영진, AI·자동화 도입으로 향후 3년 간 인력의 40% 재교육 필요
- AI 활용성 높은 6대 산업군
- AI 휴먼, 금융 서비스 혁신 본격화
- 비전문가도 개발할 수 있는 생성AI 기반 시각적 개발 플랫폼
- [Success Story] AI 기술로 게임 커뮤니티 내 유해 이미지 탐지 강화한 넥슨
- AI 챗봇의 미래
- 기업 생성AI 솔루션 도입 돕는 '엔드 투 엔드 서비스', 생산성↑비용↓
- “사기 예방 AI 무시하면 수 조 달러 손해 위험”
- 시각적 AI 기반 노코드 테스트 자동화 툴,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
- 가장 정확한 고객 파악법 '제품 내 설문조사 솔루션'
- '데이터 분석 아웃소싱' 시장, 매년 31.5%씩 성장
- 금융의 미래 'AI와 머신러닝'
- [2024 전망] AI 보다 '데이터 거버넌스와 보안'이 최우선 과제
- 애니메이션 자동화로 광고 효과 극대화하는 '어댑트 네이티브 비디오'
- 생성AI 데이터센터 패브릭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등장
- [2024 전망] 내년은 AI 마테크 황금기
- 재무적 환각 해결하는 LLM 벤치마크
- LLM 기반 마테크 생성AI, "실시간으로 소비자 통찰력 제공"
- 고객과 은행을 모두 이롭게 하는 AI
- 비디, 전문 지식 챗봇 서비스 강화하는 ‘분야별 한국어 멀티세션 데이터’ 구축
- 규제 정보 관리 시장, 규제 강화 속 급성장
- 채팅·이미지·음성·실시간 통화도 OK! '다용도 AI 챗봇'
- 재무 리더, AI 수용해야 하지만 인재 부족이 문제
- 컨택센터 솔루션이 갖춰야할 필수 기능 11가지
- [2024년 전망] 금융계 생성AI 도입의 위험과 이점
- AI에 대한 세 가지 질문
- AI 기반 인재 채용...빠르고, 스마트하며, 공정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