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업 솔트룩스(대표 이경일)는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AI 활용 초기상담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AI 활용 초기상담 정보 시스템'은 AI를 복지 전달체계에 접목해 지자체 현장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 업무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2023년 7월부터 10개월간 개발돼 2024년 7월 22일부터 101개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AI 활용 초기 상담 정보 시스템 워크플로우
AI 활용 초기 상담 정보 시스템 워크플로우

그간 기존의 복지서비스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공무원이 직접 방문하거나 일일이 전화로 초기상담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제 AI가 초기 복지상담 과정을 지원해 공무원들은 위기가구에 더 집중적인 케어를 제공하게 됐다.

솔트룩스는 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 구삐’, 헌법재판소, 현대자동차, NH농협은행, 아렐리 등 다수의 공공기관 및 국내외 기업의 챗봇 솔루션인 ‘톡봇 스튜디오’를 활용해 국내 최다 특허 기술을 적용한 대화형 시나리오 보이스봇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표준 상담업무를 그룹화하고, 봇간 시나리오 BPM(상담프로세스 재조립) 기능을 통해 단수, 단전 등 45종 위기정보를 활용해 위기유형 분류 및 시나리오에 없는 다양한 예외 상황에도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이번 AI 초기상담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AI 기술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공공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가능성을 확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