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및 망 중립 데이터센터와 코로케이션 및 상호 연결 솔루션 글로벌 기업 디지털 리얼티(Digital Realty)가 '2024 글로벌 데이터 인사이트 설문조사'의 아태 지역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를 위해 한국, 호주, 인도,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을 포함한 전 세계 21개국의 IT 기업 리더 약 2000명을 대상으로 기업이 AI 비전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고 기존 IT 인프라를 재설계하고 있는지 인사이트를 얻고자 설문조사를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아태지역 기업들의 인공지능(AI) 도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한국(66%), 싱가포르(46%), 홍콩(45%)의 AI 도입 수준을 성숙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46%의 기업이 이미 학습한 AI 모델을 배포해 수익을 창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AI 가치 극대화하는 디지털 인프라 투자 중요
반면, 아태 지역 기업 중 4분의 1만이 현재 자사의 AI 성숙도가 5점 만점으로, AI가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혁신 요소라고 평가했다. 이는 AI의 잠재력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인프라에 훨씬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태 지역의 IT 리더들은 AI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실현하는데 있어 전략적 데이터 관리가 핵심임을 인정했다. 조사에 따르면, 아태 지역 기업의 65%가 현재 보유 또는 계획 중인 IT 시설에 대해서 체계적인 데이터 전략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으며, 77%는 데이터 중력(Data Gravity) 문제를 해소하고자 분산 데이터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72%의 기업이 데이터 위치 전략을 AI 전략 계획과 연계하여 핵심 지역에 고밀도 스토리지와 처리 용량을 배치해 AI 성능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향후 2년 이내에 인프라를 1~5곳에 추가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답한 기업은 56%에 달했다. 이러한 확장은 데이터 주권 규제를 준수하고, 향후 디지털 인프라 계획에 필요한 AI 워크로드를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기업들이 데이터 중심 이니셔티브를 우선시하는 만큼, AI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아태 지역 기업의 절반 이상(56%)이 데이터 및 AI의 성공에 필요한 디지털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응답하는 등 인프라 측면의 어려움은 아태 지역 내 AI 투자 성공을 계속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인프라 도입 시 과제
전략을 수립할 때, 응답자들이 주로 직면하는 인프라 과제는 ▲AI에 필요한 방대한 AI 데이터셋을 저장할 데이터 스토리지 부족(64%) ▲AI를 처리하는 컴퓨팅 성능 미흡(55%) ▲분산된 데이터 소스에 연결할 수 있는 안정적인 상호연결 솔루션의 부재(49%) 등으로 나타났다.
IT 인프라 부족 문제가 아태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에서는 AI 구현을 어렵게 만드는 또 다른 장애물로 '개인정보 보호 규제'가 부각됐다. 한국 응답자의 46%가 IT 인프라 문제에 이어 개인정보 보호 규제를 AI 기술의 배포와 확장을 저해하는 주요 난제 중 하나로 평가했다.
아태 지역 IT 기업 리더들은 데이터와 AI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공급업체가 단일 데이터센터 플랫폼에서 사용자, 네트워크, 클라우드, IT 공급업체 간의 안전한 데이터 교환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공적인 AI 수립 전략
성공적인 AI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응답자들이 생각한 가장 중요한 요구 사항은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 처리, 호스팅하기 위한 AI의 전력 및 에너지 수요를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51%) ▲성능 높은 AI 워크로드를 데이터와 사용자 가까이에 배치(46%) ▲기업이 AI 및 개인정보 보호 관련 규제를 준수하도록 보장(45%) 등으로 나타났다.
지속 가능성 역시 아태 지역 내 최우선 순위로 꼽혔다. 특히 한국 응답자의 69%는 "지속 가능성 목표가 AI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답해 아태 지역 응답 평균(59%)보다 지속 가능성 목표에 대한 높은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응답자들은 IT 인프라의 지속가능성의 성공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100% 재생에너지 사용(86%)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 외에도 ▲잉여 열에너지 재활용(57%) ▲친환경 자격 증명 구축(53%) 등이 중요한 기준으로 꼽혔다.
디지털 리얼티 아태지역 매니징 디렉터이자 총괄인 서린 나(Serene Nah)는 "아태 지역에서는 AI 역량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AI가 단순히 유행이 아닌, 혁신과 성장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의 필수 요소라는 점을 절감하고 있다."며 "성공의 열쇠는 다양한 소스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원활히 통합하고, 고성능 컴퓨팅을 제공하며, 견고한 연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 인프라'에 달려있다.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기업들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AI의 잠재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웨카, 기업 AI 활용 최적화하는 '경제적 고성능 데이터 플랫폼 HW' 2종 출시
- 서비스나우-엔비디아, 네이티브 AI 에이전트 개발 및 ‘에이전틱 AI’ 사업 확대 협력
- AI CSP 수익률 140% 올리는 GPU 클라우드 관리 소프트웨어
- 2025년에 주목할 6대 기술 트렌드
- HPE, 대규모 AI 모델 학습용 AMD 기반 신규 서버 출시
- 엔비디아, '블랙웰 플랫폼' 설계 공유로 AI 인프라 혁신 박차
- TCU 기반 열관리 솔루션...AI 데이터센터 냉각 비용 50% 절감·보안 강화
- 넷앱, ‘지능형 데이터 인프라’ 스토리지 업데이트
- 워크로드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최적화 오픈소스 솔루션
- AI로 더 어려워지는 사이버 보안과 복원력
- AI·멀티 클라우드 수요 급증...OCI ‘인프라·소버린·리전·DB’로 대응
- 보안성·상호 운영성 높은 사용자 중심 오픈ID 관리 솔루션
- DCP-DS&G,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사업 확장' 맞손
- NVMe SSD 개발·검증·디버깅 지원 소프트웨어
- 데이터센터 발목 잡는 ‘냉각’ 해결책은?
- 비용 절감·데이터 보안성 높은 ‘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견고한 성장세
- AI 자동화로 ‘개인정보 보호·규제 준수’ 해결하는 보안 모듈
-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 강력한 '데이터센터 보안'에 투자 급증
- 애저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무료로!”
- 오픈소스로 진화하는 기업 AI 전략...ROI와 생산성 증대·혁신 가속화
- AI 기반 비즈니스 전략 개발 플랫폼 “실행·목표 달성 가능한 전략이 몇 분 안에”
- 지멘스 퓌르트 공장, ‘지속 가능성 등대 공장’ 선정...에너지 소비·온실가스 배출 감축
- "기업 AI 지출 증가, 가치를 비용보다 높게 평가"
- AI 모델 배포 간소화하는 ‘AI 클라우드 에이전트’...추론 비용 연간 85% 감소
- 대규모 배터리 저장 시스템, 에너지 전환 기반 기술로 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