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은 이제 단순한 분석 도구를 넘어 기업의 실제 성과 향상과 의사결정 고도화를 이끄는 핵심 동력이다. 특히 생성AI에서 한 단계 진화한 에이전트 AI는 자율적 판단뿐 아니라 인간의 개입까지 아우르는 방식으로,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모든 결정 흐름을 추적하고 설명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갖추며, 데이터 기반 거버넌스와 책임 있는 AI 구현에 대한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SAS(지사장 이중혁)가 10일 연례 글로벌 행사 ‘SAS 이노베이트 온 투어 서울 2025(SAS Innovate on Tour Seoul 2025)’을 개최하고, 이번 행사를 위해 방한하는 SAS 디팍 라마나단(Deepak Ramanathan) 글로벌 기술 프랙티스 부문 부사장과의 그룹 인터뷰에서 에이전트 AI, 디지털 트윈, 합성 데이터, 퀀텀 AI에 대한 통합 전략을 밝혔다.

SAS는 데이터 및 AI 플랫폼 ‘SAS 바이야(SAS Viya)’를 기반으로 에이전트 AI 솔루션을 금융, 공공, 제조 산업 전반에 적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품질 관리,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양자컴퓨팅 등 핵심 기술을 운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SAS 코리아 이중혁 지사장은 “정확한 의사결정이 늦기 전에 필요한 시점에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 솔루션과 서비스가 중요하다.”라며 “SAS는 여러 고객사에서 내부적 이슈와 외부 경제 상황에 따른 의사결정이 지연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SAS코리아 이중혁 대표이사
SAS코리아 이중혁 대표이사

에이전트 AI 기반 의사결정 자동화 솔루션

SAS는 이번 행사에서 SAS 바이야에서 구동되는 에이전트 AI 기반 의사결정 자동화 솔루션 ‘SAS 인텔리전트 디시저닝(SAS Intelligent Decisioning)’을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사람이 개입하는 형태(human in the loop)와 AI가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형태(human out of the loop)를 모두 포괄하는 방식으로 구현됐다.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인간과 AI 간 자율성의 균형을 맞추고 거버넌스와 의사결정에 설명 가능성을 제공한다.

디팍 라마나단 부사장은 “AI 기술은 이제 자율 판단뿐 아니라 설명 가능하고, 추적 가능하며, 산업별 맞춤형으로 운용돼야 한다.”라며 “디시전 인텔리전스 기반 에이전트 AI는 실제 기업이 원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고 말했다.

SAS 디팍 라마나단(Deepak Ramanathan) 글로벌 기술 프랙티스 부문 부사장
SAS 디팍 라마나단(Deepak Ramanathan) 글로벌 기술 프랙티스 부문 부사장

SAS 인텔리전트 디시저닝의 사례로 소개된 사기 탐지 시스템은 비정상적 트랜잭션을 탐지한 뒤, AI가 리스크 점수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최종 판단을 유도한다. 이 워크플로 기반 의사결정 과정은 모든 판단 경로와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는 ‘쇼 리니지(Show Lineage)’ 기능으로 보강된다.

합성 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 및 산업 활용 확대

AI의 발전과 함께 기업에서의 합성 데이터 활용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의 품질 이슈는 AI 신뢰를 담보하는 정확도에 걸림돌이 됐다. 이에 SAS는 데이터 정확도를 높이는 합성 데이터 기술과 이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전략도 함께 소개했다. SAS는 최근 합성 데이터 전문 기업 헤이지(Hazy)를 인수하면서 데이터 보호가 중요한 금융·공공 영역에서 합성 데이터를 활용한 AI/ML 모델링을 고도화할 수 있게 됐다.

실제로 영국의 한 금융사는 사기 거래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 합성 데이터를 활용해 머신러닝 모델의 정확도를 28% 높였으며, 제지업체 조지아 퍼시픽은 게임사 에픽게임즈의 ‘언리얼 엔진’ 기반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는 데 SAS의 합성 데이터 기술을 적용했다.

디지털 트윈은 공장에서 운영되는 AGV(자율 주행 물류로봇)의 라우팅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되며, 게임 엔진 기반의 가상 공간을 통해 실제 생산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SAS는 제조 산업 전반에서도 데이터 기반 예측과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졌다.

SAS는 양자 AI 관련 전략도 밝혔다. 미국 고객사와 공동으로 진행한 최적화 문제 해결 과제에서는 양자 컴퓨팅을 활용해 기존 대비 결과 향상률 300%, 처리 시간 97% 단축을 기록했다고 공개했다. SAS는 향후 제품·서비스 레벨까지 확장할 수 있을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SAS  행사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자동화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했다. SAS는 에이전트 AI, 합성 데이터, 디지털 트윈, 양자 AI 등 핵심 기술로, 금융·공공·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실질적인 활용 성과 창출에 매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