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중심 아키텍처의 확산은 기업 보안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SaaS, IaaS, API, LLM 등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인프라는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체계를 무력화하며, 이에 따라 보안의 패러다임은 선제적이고 통합된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표적 기술이 바로 SECaaS(Security as a Service)이다. SECaaS는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ID, 데이터까지 아우르는 보안 기능을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며, 실시간 탐지와 자동 대응을 가능하게 해 기업의 보안 운영 효율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높여준다.

특히 생성AI의 확산은 새로운 위협을 동반하고 있다. 악의적인 프롬프트 인젝션, 모델 오용, LLM 기반 피싱, 기밀 유출 등 AI 특유의 보안 취약점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보안 시스템으로는 탐지·대응이 어려운 형태다. 동시에 기업은 ID 기반 공격, MFA 우회, 오프보딩 실패, API 경유 데이터 유출 등 복합적 리스크에도 직면해 있다. 위협의 속도와 다양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조직은 개별 보안 제품을 넘어서 AI 포함 전반적인 IT 환경을 통합 관리하고 자동화된 대응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SECaaS는 이 같은 수요에 맞춰 AI 보안, 위협 인텔리전스, 정책 기반 자동화 등 기능을 통합하며, 클라우드 보안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날로 거세지는 AI 위협과 클라우드 리스크 시대에 안심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하게 하는 SECaaS 솔루션들을 만나보자.

클라우드 시대의 네트워크·보안 통합 전략, HPE 아루바 네트워킹 SASE

HPE 아루바 네트워킹 SASE는 SD-WAN 기술인 에지커넥트(EdgeConnect)와 SSE(Security Service Edge)를 통합해 분산된 업무 환경에서도 고성능 연결성과 강력한 보안 체계를 동시에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중심의 업무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에지커넥트는 다양한 WAN 인프라를 단일화하여 중앙 집중형 제어를 실현하며, 지능형 트래픽 라우팅 기능으로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하고 SaaS 및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접근 속도를 높인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책 설정과 모니터링이 용이하며, 글로벌 분산 환경에서도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SSE는 ZTNA, SWG, CASB, DEM 등 주요 보안 기능을 통합한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로, SSL 트래픽 검사와 URL 필터링을 통해 실시간 위협을 차단한다. 국내에서는 원츠넷이 MSP 서비스 ‘원츠패스’를 통해 기업에 맞춤형 구축과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제 고객 사례에서도 보안성과 업무 연속성 향상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AI 보안 전방위 플랫폼, 팔로알토 네트웍스 ‘프리즈마 에어즈’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자율형 AI 에이전트의 확산에 따른 새로운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 AI 보안 플랫폼 ‘프리즈마 에어즈(Prisma AIRS)’를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AI 모델, 데이터셋, 프롬프트, 실행 환경 등 전 주기를 보호하는 보안 체계를 구현하며, 기존 포인트 방식의 보안이 갖는 한계를 보완한다.

프리즈마 에어즈는 모델 스캐닝, 런타임 보호, 보안 상태 관리, AI 레드팀 테스트, 에이전트 보안까지 아우르는 다층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프롬프트 인젝션, 권한 오남용, 도구 오용 등 AI 에이전트 특유의 위협까지 탐지·대응하며, 노코드·로우코드 환경에서 생성된 다양한 AI 자산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자사 보안 운영에 프리즈마 에어즈를 선제 적용해 실효성을 입증하고 있다. VM-Series 방화벽, 프리시전 AI, 스트라타 클라우드 매니저 등의 기술을 연동해 정책 일관성과 운영 자동화를 실현했으며, 보안 관리 업무의 25% 이상이 절감되었다고 밝혔다. 프리즈마 에어즈는 AI 중심 시대에 적합한 차세대 보안 아키텍처로 주목받고 있다.

코드부터 AI까지 통합하는 개발자 중심 플랫폼, 클라우드플레어 ‘클라우드 연결성’

클라우드플레어는 코드 작성, 배포, 보안, 데이터 저장, AI 실행을 단일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연결성(Connectivity Cloud)’ 전략을 통해 복잡한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한계를 해결하고 있다. 서버리스 런타임 ‘클라우드플레어 워커스(Cloudflare Workers)’는 V8 엔진 기반 초고속 초기화와 지리적 분산 배포를 지원해 사용자 가까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레이턴시를 최소화한다.

또한, ‘워커스 AI(Workers AI)’는 사전 학습된 모델을 API 형태로 제공해 텍스트 분류, 감정 분석 등의 AI 기능을 손쉽게 구현하며, ‘AI 게이트웨이(AI Gateway)’는 프롬프트 모니터링과 보안 정책 적용으로 AI 운영 리스크를 제어한다. 아울러, ‘R2’ 객체 스토리지는 S3와 호환되면서 송신료가 없어 최대 80%의 전송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하며, 캐시 리저브(Cache Reserve)와 연계해 캐시 효율을 극대화한다.

클라우드플레어는 기본 제공되는 제로트러스트 보안 기능과 API 보안, WAF, DDoS 방어, TLS 암호화 전송 기능을 통해 보안 운영을 간소화하며, 실시간 로그·분석 도구를 통해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시각화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별도 인프라 없이도 글로벌 확장성, 비용 효율성, 보안 요건을 충족할 수 있으며, 향후 에지 머신러닝, 분산 키 관리 기능 고도화 등으로 플랫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ID 기반 위협 대응 핵심, 옥타 ISPM 통합 보안

옥타(Okta)의 ISPM(Identity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클라우드·SaaS·온프레미스 환경 전반에 걸쳐 증가하는 ID 기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이다. MFA 우회, 과도한 권한, 퇴사자 계정 관리 미비 등 주요 리스크를 탐지하고, 중앙 집중형 가시성과 자동화된 대응 기능을 통해 보안 관리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인다.

ISPM은 에이전트리스 방식으로 다양한 ID 시스템과 연동되며, 사용자 및 권한 데이터를 정규화해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분석을 수행한다. 위험 요소를 사전에 탐지하고, 컨텍스트 기반 위험도 평가 및 자동 대응을 제안한다. 또한 NIST, ISO, PCI DSS 등 규정 준수 상태를 대시보드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주요 ITSM 툴과의 연계를 통해 인시던트 대응 속도를 향상시킨다.

옥타는 이 솔루션을 AI 기반 이상 탐지(UEBA), SaaS 보안 관리(SSPM), ID 거버넌스 기능과 통합해 단일 콘솔에서 ID 생명주기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확장 중이다. ID 그래프 기술 기반의 시각화와 제로 트러스트 구현을 통해, 조직은 복잡한 ID 환경에서도 선제적이고 정교한 보안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공격 표면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통합 보안, 트렌드마이크로 CREM 솔루션

트렌드마이크로의 CREM(Cyber Risk Exposure Management)은 기존 공격 표면 관리(ASM)를 넘어선 보안 프레임워크로, 위협 시뮬레이션과 AI 자동화 기능을 결합해 선제적 대응 역량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자산 탐지, 위험 예측, 규정 준수, 자동 대응까지 6단계 사이클로 보안 체계를 정교하게 관리한다.

CREM은 외부 공격 표면 관리(EASM), 자산 중심 ASM(CAASM), 취약점 리스크 관리(VRM) 등을 통합하며, 위협 인텔리전스를 활용해 공격 경로를 시각화하고, 자동 대응 플레이북을 통해 침해 가능성을 40% 이상 낮춘다. 특히 AI 기반의 안내 시스템은 비전문가도 효율적으로 보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실제 한 글로벌 유통 기업은 CREM을 통해 클라우드 위협 경로의 70% 이상을 사전에 차단하고, 수작업 기반 대응의 자동화를 실현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산업별 맞춤화와 글로벌 보안 표준화를 통해 CREM을 전 세계 보안 전략의 핵심 프레임워크로 확장할 계획이다.

생성AI 환경 실시간 보호 체계, 이스트시큐리티 ‘알약 xLLM’

이스트시큐리티의 ‘알약 xLLM’은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업무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전문 솔루션으로, 실시간 프롬프트 분석과 민감정보 탐지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및 악성 응답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문서·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 대응하며 AI 업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한다.

이 솔루션은 악성 코드 생성, 피싱 유도와 같은 위협 응답을 자동 탐지해 차단하며,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방식으로 별도 시스템 변경 없이 손쉽게 도입할 수 있다. 통합 보안 대시보드를 통해 관리자 중심의 정책 설정, 사용자별 위반 내역 확인, 로그 관리 등 체계적인 통제가 가능하며, 보안 컴플라이언스 대응에도 유리한 구조다.

현재 알약 xLLM은 공공기관과 기업에 도입돼 기밀정보 유출 방지에 활용되고 있으며, 이스트소프트의 서비스에도 통합 적용돼 프롬프트 보호 기능을 수행 중이다. API 기반 연동과 향후 엔드포인트 제어 확대 계획은 기업의 AI 거버넌스 수립에 효과적인 지원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PI·AI 보안·관리' 최적화 종합 솔루션...‘F5 분산 클라우드 API 보안 & AI 게이트웨이’

F5의 분산 클라우드 API 보안 솔루션은 모든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API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보안 플랫폼이다. 단순하고 확장성 높은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WAAP(Web App and API Protection)의 일부로서, API 동작을 자동 분석하고 정책을 적용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비즈니스 민첩성을 확보한다.

이 솔루션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알려지지 않은 쉐도우 API나 오래된 API까지 자동 탐지하고 모니터링한다. 엔드포인트 추적, 인증 상태 확인, 이상 행위 분석을 통해 위협을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하며, 민감 정보 및 PII 보호 수준도 크게 향상시킨다. 오픈API 기반의 포지티브 보안 모델과 WAF 시그니처, L7 보안 정책, DoS 방어 기능을 통해 악성 트래픽 및 데이터 유출 위험을 정밀하게 차단한다.

F5 AI 게이트웨이는 API, 애플리케이션, LLM 간 연계를 간소화해 기업의 AI 도입을 지원한다. 컨테이너 기반으로 유연한 배포가 가능하며, 트래픽 검사, 결과 제어 기능을 통해 AI 데이터 보호를 강화한다. F5는 SaaS 기반 통합 관리 콘솔을 통해 보안성과 운영 효율을 모두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고객을 위한 실습 기반 EBC도 운영해 기업의 실질적인 API 보안 역량 강화를 돕고 있다.

생성AI 그림자, 체크막스 원으로 코드 보안 대응

체크막스(Checkmarx)는 AI 기반 자동화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보안 플랫폼 '체므칵스 원(Checkmarx One)'을 통해, 생성AI 확산으로 인한 코드 보안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개발 초기부터 배포까지 소프트웨어 개발 생애주기(SDLC) 전반에 걸쳐 보안 요소를 통합해 신속한 취약점 탐지와 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체크막스 원의 핵심 기능은 AI 기반 자동 수정 가이드(Auto-Remediation)다. 단순한 취약점 나열이 아니라 맥락을 분석해 최적의 수정 방안을 제시하고, AI가 리스크 수준을 평가해 자동으로 대응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와 보안팀은 협업 속도를 높이고, 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중요한 보안 이슈에 집중할 수 있다.

SAST, SCA, IaC 분석, API 보호까지 통합한 체크막스 원은 모든 보안 데이터를 단일 대시보드에서 관리하며, 주요 클라우드·CI/CD 도구와도 연동된다. 실제 한 글로벌 금융사는 도입 후 취약점 탐지 시간을 60% 이상 단축하고 코드 품질 향상 효과를 확인했다. 체크막스 원은 AI 시대 실효성 있는 액섹(AppSec)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AI 기반 EPP·클라우드 통합 보안 아키텍처,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콘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는 엔드포인트 보안(EPP) 시장에서 5년 연속 가트너 리더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보안과 위협 인텔리전스 분야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 솔루션인 '크라우스트라이크 팔콘(CrowdStrike Falcon, 이하 팔콘)'은 단일 경량 에이전트 기반으로 엔드포인트, 클라우드, 아이덴티티 보안 등 다양한 모듈을 통합 제공해 운영 효율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팔콘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머신러닝과 실시간 위협 인텔리전스를 결합해 자동화된 탐지 및 대응을 지원한다. 위협 사냥(Threat Hunting) 기능을 통해 잠재적 위험까지 사전에 식별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손쉽게 확장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팔콘 클라우드 시큐리티(Falcon Cloud Security)는 멀티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서버리스 환경에서도 AI 기반 탐지와 정책 최적화를 지원해 최신 보안 요구에 부합한다.

최근 출시된 팔콘 넥스트 젠(Falcon Next-Gen) SIEM은 기존 SIEM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한 고도화된 보안 이벤트 관리 솔루션이다. 로그 중심이 아닌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EDR 및 클라우드 보안과 통합 운영되며, 보안 분석가가 중요 이벤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향후 AI와 빅데이터 역량을 강화해 복잡한 위협 환경에서 기업 보안의 기준을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AI 보안 방패, 아마존 베드록 가드레일의 프롬프트 인젝션 대응 전략

생성AI의 확산은 새로운 가능성과 함께 프롬프트 인젝션과 같은 복합적인 보안 위협을 동반하고 있다. AWS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아마존 베드록 가드레일(Amazon Bedrock Guardrails)을 중심으로 콘텐츠 필터링, 프롬프트 템플릿, 접근 제어, 모니터링까지 포함한 다층 보안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접근법은 AI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직접·간접 인젝션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다.

아마존 베드록 가드레일은 AI 시스템 입·출력 데이터를 모니터링해 악의적 지시나 유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차단한다. 프롬프트 템플릿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표준화된 구조로 제한함으로써 기만적 입력의 가능성을 낮추며, IAM과 아마존 코그니토(Amazon Cognito)를 활용한 접근 제어는 역할 기반 권한 설정으로 AI 시스템 기능에 대한 세밀한 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부서나 직급별로 맞춤형 기능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WS는 로그 기반 이상 탐지와 경고 설정을 통해 AI 시스템의 이상 행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시스템 전반의 활동을 추적한다. 이와 같은 보안 메커니즘은 AI 기능의 확산 속도에 맞춰 보안도 동등하게 진화해야 함을 보여주며, 아마존 베드록 가드레일은 신뢰받는 생성AI 운영을 위한 핵심 보안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AI·위협 인텔리전스 결합한 구글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

구글 클라우드는 맨디언트의 현장 위협 대응 경험과 자사의 AI·클라우드 기술을 결합해, 위협 탐지부터 대응까지 전 주기에 걸친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Threat Intelligence)는 글로벌 위협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직이 위협 행위자의 전술(TTP)을 식별하고, 실제 공격 데이터를 분석해 보안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한다.

섹옵스(SecOps) 플랫폼은 SIEM, SOAR,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합한 환경을 제공하며, 페타바이트 단위의 로그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확장성과 속도를 바탕으로 보안팀의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인공지능 기반 분석을 통해 위협 탐지의 정확도를 높이고, 다수의 이벤트 중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맨디언트의 사이버 보안 컨설팅은 침해사고 분석, 표적 공격 테스트, 클라우드 보안 평가, OT/ICS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실전 대응 중심의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전문 컨설턴트와 함께 보안 체계를 고도화하며, 장기적인 사이버 방어 역량을 내재화할 수 있다.

AI 기반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코파일럿

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코파일럿은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보안 전문가의 실무를 지원하는 보안 특화 어시스턴트로, 위협 탐지부터 사고 대응, 정책 최적화까지 다양한 업무를 자연어 인터페이스로 수행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위협 인텔리전스, 디페더·엔트라·퍼뷰(Defender·Entra·Purview) 등 보안 플랫폼, 고객 데이터를 통합해 평균 대응 시간(MTTR)을 30% 이상 단축하는 효과를 입증했다.

시큐리티 코파일럿은 단순 챗봇이 아닌, 질문을 이해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한 후 관련 보안 스킬을 호출하는 구조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보안 분석가는 인시던트의 맥락을 빠르게 파악하고, 자연어 기반 질의·요약·자동 대응 기능을 활용해 복잡한 보안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다. 특히 LTIMindtree, Eastman 등은 실제 운영 효율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체감한 바 있다.

시큐리티 코파일럿 에이전트는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업무를 자동화하는 확장 구성이다. 피싱 대응, 조건부 접근 정책 최적화, 경고 자동 분류, 위협 브리핑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SOC 부담을 줄이고 대응 속도를 높인다. 마이클소프트의 제로 트러스트 모델 기반으로 설계돼 안전성이 확보되며, 향후 파트너 에이전트 연계를 통한 시나리오 확장도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