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AI의 사용이 업무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직원들은 생성AI로 일상적인 업무를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명확한 AI 사용 정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데이터 유출, 잘못된 정보 생성, 규정 위반과 같은 심각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실제로 광범위하게 AI가 채택되고 있지만, 이를 관리하는 공식적인 정책을 마련한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AI 도입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관련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광고 및 마케팅 기술 플랫폼 기업 다이렉트 디지털 홀딩스(Direct Digital Holdings)이 기업 맞춤형 생성AI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직원 대상 생성AI 사용 정책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다이렉트 디지털 홀딩스의 AI 위원회가 개발한 이 프레임워크는 기업 맞춤형 AI 사용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업무 환경에서 AI 사용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와 안전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의 주요 항목에는 ▲윤리적 AI 사용 및 투명성 확보 ▲AI의 가치 창출 가능성과 불필요한 위험 발생 가능성 식별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가이드라인 제공 ▲인간의 최종 검토 및 의사결정 ▲ AI의 지속적인 평가 및 감사를 위한 순환 구조 설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비즈니스 리더, IT 팀, 컴플라이언스 담당자 등 다양한 조직 구성원이 산업별 요구사항, 규제 조건 및 기업 맞춤형 정책을 수립할 때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기업이 AI 기술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로드맵을 제공한다.
기업은 AI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업무 내 AI 사용을 안전하고 책임 있게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AI 거버넌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정책 수립이 필수적이다. 명확한 지침을 설정해야 정보에 기반한 AI 채택 문화를 조성하고, 고객, 파트너 및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유지하면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앤스로픽 LLM 기반 스노우플레이크 ‘코텍스 에이전트’, AI 배포·보안·거버넌스 강화
- 생성 AI, 데이터 팀 생산성 최대 50% 향상....‘보안·거버넌스·신뢰’ 유지 관건
- ‘AI 자동화 기반 위협 노출 검증’ 솔루션...지속적 노출관리로 보안 취약점 자동 수정
- ‘AI 에이전트·기밀 컴퓨팅’ 통합 보안 솔루션...개인정보 보안 강화·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 활용 확대
- 2025년 기업이 대비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AI피싱, 장기 방치된 계정, 랜섬웨어, 오픈소스, OT/IoT"
- 비즈니스 중단 막는 클라우드 보안 5가지 핵심...‘프레임워크·제로트러스트·모니터링·암호화·복원력’
- AI 성공을 위한 3대 핵심 투자 ‘인재·인프라·보안’
- 조직 민첩성·비즈니스 성과 올리는 ‘IT 인프라와 운영 5대 전략’
- SaaS 활용 확대로 보안 강화 필요성도 증가
- 생성AI ‘데이터 보안·규제 준수’ 걱정 해결하는 ‘기업 보안 AI 플랫폼’
- “정부, 투명하고 책임 있는 AI 개발 및 사용에 의무적인 오픈소스 채택 필요”
- ‘데이터 관리 간소화·AI 도입 가속화’하는 차세대 ‘데이터통합·자동화 플랫폼’
- 생성AI 보안 비교 시스템...위험 대비 성능 비율·보안 비용 지표 제공
- “AI 폭풍 속 GRC, 규제 변화에 대응해야”
- “AI 시대 경쟁력, AI 인재 확보 전략”
- 사이버한국외대, 맞춤형 학습 지원 및 학사·입시 정보제공 AI 학습 지원 플랫폼 구축
- “개인정보 보호 강화하고 캠페인 효과 높이는” 마케팅 지원 솔루션
- “AI 도입 증가하고 있으나 기술 성숙도는 낮아”
- AI 도입 성공, “인프라·인력에 1년 이상 투자해야”
- [기고] 인간 전문가 강화하는 AI 도입 성공 전략 5단계
- 직원 규정 준수 관리에 AI 도입 가속...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윤리적 리스크가 과제
- 데이터 프라이버시 관리 자동화 AI 에이전트...개인정보보호 자동화 표준 제시
- AI 도입 실패 막는 ‘AI 거버넌스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 AI 위험 관리 부재, 기업 운영에 치명적 리스크로 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