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제품여권(DPP)은 제품의 생산, 판매, 사용, 폐기에 이르는 디지털 데이터를 QR코드, 바코드, NFC에 담아 소비자가 제품의 원료, 부품, 출처, 재활용 가능성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신분증이다. EU는 오는 2027년부터 시장에 진출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DPP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라온시큐어가 근거리 무선 통신(NFC) 팹리스 기업 쓰리에이로직스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기술을 활용해 제품의 생산, 유통, 폐기 등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공유하는 디지털제품여권(DPP)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유럽연합(EU)의 에코디자인 규정 도입과 국내 ESG 경영 및 자원순환 강화 등 변화에 따라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DPP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사업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협력한다. 양사는 DPP 기술 공동연구 및 개발, NFC/RFID 태그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시스템의 연계 및 통합 솔루션 개발, 국내외 DPP 시장 공동 대응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협약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회사는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모바일 신분증, 의료 증명서 등 모바일 증명서 사업을 확대 중이며, DPP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넓힐 방침이다.
쓰리에이로직스는 국내 NFC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동차용 NFC 리더 칩 분야에서 인증을 획득해 주요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쓰리에이로직스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제품여권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DPP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해외 파트너십 및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주민등록증' 4500만 대상 전국 발급 시작
- 라온시큐어-하나은행, 광운대학교 디지털 ID 플랫폼 구축 협력
-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능 추가된 ‘라온 모바일 시큐리티’
- 라온시큐어, AI 민간 자격증 블록체인 플랫폼 '옴니원 배지'로 발급
-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검증 및 사본 생성 솔루션’, 안전한 금융 서비스 지원
- 라온시큐어,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 보안 솔루션에 PQC 적용
- 라온시큐어-대한택견회,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단증 발급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의료인 디지털 신분증 본격화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플랫폼 '옴니원' 오픈소스 공개
- 자격증 제출과 검증, 블록체인 기술로 간편하게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DID 오픈소스화’ 계획 공개
- 라온시큐어-옴니커넥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로 인재 채용 시 검증에 도움
- 라온시큐어, ‘옴니원 CX’ 인증 기능 확대
- 라온시큐어, 5개 서비스 ISMS 인증 획득 발표
- 라온시큐어-아이앤텍, 블록체인 기반 대학 증명 서비스 확대 맞손
- KISA, 2025 블록체인 밋업 콘퍼런스개최
- 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 AI 해커톤’ 주최…창업 지원금 10억원 기회
- 반려동물 디지털 신분증 시대 열렸다
-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서비스 일본서 월이용자수 700만 돌파
- KISA, 블록체인 기반 AI 융합 응용서비스 개발 기업 모집
- 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기술설명회 성료
- 라온시큐어, 코스타리카 디지털 ID 민간 확산 사업 본격화
- 호패, 글로벌 표준화 디지털 신원 글로벌 표준 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