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제품여권(DPP)은 제품의 생산, 판매, 사용, 폐기에 이르는 디지털 데이터를 QR코드, 바코드, NFC에 담아 소비자가 제품의 원료, 부품, 출처, 재활용 가능성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신분증이다. EU는 오는 2027년부터 시장에 진출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DPP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라온시큐어가 근거리 무선 통신(NFC) 팹리스 기업 쓰리에이로직스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기술을 활용해 제품의 생산, 유통, 폐기 등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공유하는 디지털제품여권(DPP)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라온시큐어는 쓰리에이로직스와 디지털제품여권 사업 강화를 위한 협약식을 맺었다.
라온시큐어는 쓰리에이로직스와 디지털제품여권 사업 강화를 위한 협약식을 맺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유럽연합(EU)의 에코디자인 규정 도입과 국내 ESG 경영 및 자원순환 강화 등 변화에 따라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DPP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사업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협력한다. 양사는 DPP 기술 공동연구 및 개발, NFC/RFID 태그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시스템의 연계 및 통합 솔루션 개발, 국내외 DPP 시장 공동 대응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협약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회사는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모바일 신분증, 의료 증명서 등 모바일 증명서 사업을 확대 중이며, DPP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넓힐 방침이다.

쓰리에이로직스는 국내 NFC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동차용 NFC 리더 칩 분야에서 인증을 획득해 주요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쓰리에이로직스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제품여권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DPP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해외 파트너십 및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