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단순 자동화를 넘어 사고, 추론, 복잡한 문제 해결까지 지원하면서 업무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업들은 인간과 AI 에이전트가 함께 일하는 새로운 조직 모델을 모색하고 있으며, 디지털 노동력을 통한 역량 확장과 생산성 향상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AI 도입을 전략적 전환점으로 인식하고, 조직 혁신을 가속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연례 보고서 ‘2025 업무 동향 지표(Work Trend Index)’를 통해 AI가 재편하는 업무 환경과 프론티어 기업의 등장을 조명하며, AI 시대의 변화에 대응할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31개국 3만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마이크로소프트 365, 링크드인 데이터, 학계 및 스타트업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기반으로 작성됐다. 자레드 스파타로(Jared Spataro) 마이크로소프트 AI 기업 부문 부사장은 "AI가 경영 전략과 지식 노동의 개념을 바꾸고 있으며, 2025년은 프론티어 기업이 탄생한 해로 기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프론티어 기업 등장과 인간-AI 협업 모델의 진화

보고서는 2025년을 기점으로 인간과 AI 에이전트가 함께 일하는 '프론티어 기업'의 등장을 강조했다. 프론티어 기업은 하이브리드 팀 운영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며, 리더의 81%는 향후 12~18개월 내 자사 AI 전략에 에이전트를 광범위하게 통합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24%는 이미 전사 차원의 AI 도입을 완료했으며, 시험 운영 단계에 머무르는 조직은 12%에 불과했다.

프론티어 기업은 AI 협업 수준에 따라 3단계로 진화한다. 1단계는 반복 작업 보조, 2단계는 팀의 디지털 동료로서 수행, 3단계는 에이전트가 전체 업무 흐름을 주도하는 단계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인간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고, 전략적 사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프론티어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71%가 자사의 빠른 성장에 자신감을 보였으며, 93%는 향후 커리어 전망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연례 보고서 ‘2025 업무 동향 지표’가 제시한 프론티어 기업 진화단계 
마이크로소프트의 연례 보고서 ‘2025 업무 동향 지표’가 제시한 프론티어 기업 진화단계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지능과 역량 격차 해소

보고서는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지능(Intelligence on tap)' 개념을 소개하며, AI가 시간과 에너지에 의존하지 않고 지능을 제공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리더의 82%는 2025년을 경영 재설정의 전환점으로 인식했으며, 디지털 노동력 도입을 통한 인력 역량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비즈니스 수요와 인간 역량의 간극인 '역량 격차(Capacity Gap)'도 주요 이슈로 분석됐다. 리더의 53%가 더 높은 생산성을 요구했지만, 근로자의 80%는 집중할 시간과 에너지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데이터에 따르면 직원들은 하루 평균 275번 방해를 받으며, 10건 중 6건의 회의가 사전 통보 없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은 AI를 통한 역량 확장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조직 운영 모델 혁신과 인간-에이전트 비율 제시

워크 차트 기반 유연한 팀 구성 / 인간-에이전트 하이브리드 지표 도입 제안

마이크로소프트는 기능 중심 조직 구조를 넘어 목표 중심으로 팀을 구성하는 '워크 차트(Work Chart)' 개념을 제시했다. AI 에이전트는 팀원으로서 분석, 지원, 제안 기능을 수행하며, 인간은 전략적 판단과 창의적 사고를 담당하는 협업 모델이 강조됐다.

또한 인간과 에이전트 간 역할 분담을 측정하는 '인간-에이전트 비율(Human-agent ratio)' 지표 도입을 제안했다. 리더의 46%는 이미 에이전트를 활용한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를 진행 중이며, AI 투자는 고객 서비스, 마케팅, 제품 개발 분야에서 급속히 확대될 전망이다. 직원들은 AI를 명령형 도구 또는 조력자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과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AI 리터러시 부상과 새로운 리더십 모델 필요성

보고서는 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직원들의 AI 리터러시(AI literacy)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링크드인은 2025년 주목할 역량으로 AI 이해와 활용 능력을 꼽았으며, 갈등 해결, 적응력, 혁신적 사고 등 인간 고유의 역량 또한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에이전트 보스(Agent Boss) 시대도 도래하고 있다. 28%의 관리자는 인간-AI 하이브리드 팀 운영 담당자 채용 계획을 밝혔으며, 32%는 12~18개월 내 에이전트 설계 및 최적화 전문가 채용 의사를 밝혔다. 리더들은 AI를 활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AI 교육을 직원 업무에 포함시킬 계획도 검토 중이다.

AI 기반 협업을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기능 강화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간과 AI 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의 주요 기능 업데이트도 공개했다.

새로운 코파일럿 서치는 AI 기반 고급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크리에이트(Create)는 손쉬운 디자인과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코파일럿 노트북(Copilot Notebooks)은 실시간 데이터 정리 및 인사이트 제공을 담당하며, 에이전트 스토어(Agent Store)는 다양한 에이전트를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를 통해 조직은 AI와 인간의 협업을 보다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