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가 결합된 스토리지 장치로, 사용자의 중요 데이터를 저장하고 어디에서나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단순한 저장장치의 기능을 넘어 웹 호스팅, 미디어 스트리밍,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NAS 서버는 인터넷 환경에 노출된 경우가 많아 해커들의 주공격 대상이 되고 있으며, NAS에 저장된 데이터를 겨냥하는 랜섬웨어도 등장하고 있다. 작년에는 주요 NAS 제조사 제품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악용하는 랜섬웨어가 등장해 사용자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금전을 요구하는 등 피해를 주기도 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상중)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NAS 보안 가이드를 발간했다. 

KISA에 신고된 랜섬웨어 침해사고 기업·기관의 백업 여부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42%에서 2023년 58%로 백업 비중은 증가했지만, 백업까지 감염된 비중은 21%에서 39%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KISA는 NAS를 겨냥한 보안 위협에 대한 실질적인 점검 방법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보안 가이드 및 보안 수칙을 마련했다.

한편, KISA에서 제공 중인 중소기업 원격 보안점검 서비스(내 서버 돌보미)에 접수된 통계에 따르면 537개 기업 중 151개 기업(28%)이 NAS 서버를 도입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KISA는 이용률이 높은 NAS 제조사 3종(시놀로지, 큐냅, EFM 네트웍스의 아이피타임)을 중심으로 상세 보안 가이드를 제작했다.

또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필수 보안 8가지 수칙으로 ▲암호화 사용 ▲접근 제어와 권한 관리 ▲네트워크 보안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백업 및 복원 전략 ▲감사 로깅과 모니터링 ▲업데이트된 안전한 앱 사용 ▲랜섬웨어 방지 등을 마련했다.

KISA 임진수 침해예방단장은 “NAS 서버의 활용 증가와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안전한 데이터 보호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체계적인 보안 정책을 제시해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NAS 보안 가이드 및 보안 수칙은 KISA 보호나라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알림] GTT KOREA와 월터스클루어는 오는 3월 5일(화)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기업의 수익성을 증대하는 ‘전사 기업성과관리(CPM)’ 플랫폼 활용 전략”을 주제로 무료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한다. 급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 고객들에게 AI 활용 고급 분석 기능이 적용돼 재무계획을 넘어 판매, 공급망, HR 등 운영 조직까지 확대해 최적의 전사적 경영계획 및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확장경영계획 및 분석’도 가능한 기업성과관리 플랫폼 ‘CCH 타게틱’을 통한 기업의 수익 극대화 방안을 단계별, 사례별로 알아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