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즈(이하 ‘줌’)가 AI 기반의 개방형 협업 플랫폼인 ‘줌 워크플레이스(Zoom Workplace)’를 출시하고 생성AI 어시스턴트인 ‘줌 AI 컴패니언(Zoom AI Companion)’ 기능의 확장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는 ▲클라우드 통화시스템 줌 폰(Zoom Phone) 내 AI 컴패니언 신규 기능 추가 ▲대화형 AI 챗봇 ‘애스크 AI 컴패니언(Ask AI Companion)’를 통한 AI 기능 확대 ▲줌 앱 디자인 개편 ▲줌 컨택센터(Zoom Contact Center) 고객 경험 개선 등이 포함됐다.
팀워크 기능 강화한 ‘줌 워크플레이스’
줌 워크플레이스는 기업이 협업을 개선하고 유연한 업무 환경을 구현하도록 지원한다.
줌 워크플레이스는 줌 API와 SDK, 줌 앱 마켓플레이스(Zoom App Marketplace)는 2500개 이상의 서드파티 앱을 지원하고 있으며, 고객은 기존 기술에 줌을 통합하거나 평소 즐겨 사용하는 앱을 줌에 통합할 수 있다.

줌 워크플레이스는 사용자가 앱을 직접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UI가 개편된다. 네 가지 색상의 테마로 줌 앱을 사용자가 직접 꾸밀 수 있으며, 미팅 호스트는 회의 분위기에 맞춰 맞춤형 가상 배경을 설정할 수도 있다.
줌 미팅에는 새로운 ‘미팅 탭’이 추가돼 미팅 전후 또는 중간에 협업할 수 있다. 기존의 캘린더 뷰에 회의 안건, 녹화, 문서 등과 AI 컴패니언 스마트 녹화, 미팅 요약을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의 전후 새로 출시된 미팅 탭에서 미팅 내용이 정리되는 미팅 카드에 접근, 각 미팅의 연속 미팅 챗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다중 화자 보기(Multi-speaker view)’ 기능은 회의 중 자동으로 화자를 하이라이트하여 화면 레이아웃에 반영한다. AI 기반의 ‘인물 조명(Portrait Lighting)’ 기능은 조명이 어두울 경우 참가자의 모습을 더 밝게 비춰준다. 생성AI 가상 배경 기능도 추가돼 사용자는 가상 배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 ▲사용자가 많이 쓰는 기능을 고정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도구 모음(Customizable Toolbar)’ ▲여러 참가자가 동시에 화면, 문서, 화이트보드 및 노트를 공유할 수 있는 ‘다중 공유(Multi-share)’ ▲미팅 중 서드파티 앱의 문서를 열람, 접근권한 간소화 및 공동 편집할 수 있는 ‘문서 협업(Document Collaboration)’ 기능이 추가됐다.
줌 팀챗(Zoom Team Chat)에는 ‘팀챗 탭’이 추가된다. 사용자는 팀챗 탭에서 링크, 화이트보드, 리소스 등 채널 관련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공유 공간(Shared Spaces)’에는 채널이 그룹화되어 더 쉽게 대화를 정리하고 프로젝트 또는 팀별 토픽을 검색할 수 있다. 노코드 엔진으로 구동되는 ‘워크플로우 자동화 기능’으로 타스크 자동화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기반 룸 시스템인 ‘줌 룸(Zoom Rooms)’에는 자동으로 회의 참가자에 스마트 네임카드을 붙일 수 있는 옵션이 있으며, 디바이스를 추가로 연동해 화면을 확장할 수도 있다. 또한 워크비보가 통합되어 기존 워크비보 고객은 주요 업데이트 사안, 뉴스, 이벤트 공지 등을 줌 룸 인증 기기에서 워크비보TV를 통해 전 직원에게 송출할 수 있다.
업무 효율성 증진하는 ‘줌 AI 컴패니언’
줌은 플랫폼 내 AI 기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며 사용자가 기존 업무 흐름 안에서 효율성을 높여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생성AI 어시스턴트 AI 컴패니언의 기능을 대폭 확대한다. 신규 및 업데이트된 줌 AI 컴패니언 기능은 줌 유료 계정 사용자에게 추가 비용 없이 제공된다.

‘애스크 AI 컴패니언’은 줌 미팅, 메일, 팀챗, 노트, 닥스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질문과 관련된 정보를 취합해 답변을 제공한다. 미팅 요약, 액션아이템 제시, 회의 안건 작성, 챗, 이메일 스레드, 문서 요약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 추후 사용자 동의 하에 선별된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련 콘텐츠를 가져오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줌 폰에도 AI 컴패니언이 도입돼 사용자는 통화 후 통화 요약과 액션 아이템(Post-call Summary and Next Steps)을 받아보고 통화 중 메모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중요한 전화를 놓친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 우선순위(Voicemail Prioritization)’ 기능을 활용해 통화대기열의 상단에 오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음성메시지 업무 할당(Voicemail Task Extraction)’ 기능을 통해 음성메시지를 일일이 듣지 않고도 다음 업무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팀 SMS 스레드 요약(Team SMS Thread Summary) 기능은 간결한 챗 스레드 개요를 함께 제공해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더라도 업무 현황을 바로 파악하도록 지원한다.
팀챗과 화이트보드 AI 컴패니언 기능도 확장된다. 팀챗에는 스마트 스케줄링 기능이 추가되어 챗에서 회의 일정을 논의할 때 적절한 시간대를 먼저 제안한다. 프리뷰 형식의 문장 완성 기능과 챗 작성, 스레드 요약 기능도 추후 38개 언어로 지원될 예정이다.
새로 발표된 제품 및 기능은 4~5월에 걸쳐 출시될 예정이다.
줌의 스미타 하심(Smita Hashim)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줌 AI 컴패니언 기능이 더해진 줌 워크플레이스는 핵심 협업 솔루션을 AI 기반의 단일 플랫폼에 통합하여 이미 사용자에게 친숙한 줌 안에서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하도록 지원해 고객이 실제로 일상에서 겪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스마트워크 소개하는 ‘로지텍 오픈 오피스 데이’
- 오픈 소스 84% 취약점, 74%는 고위험 취약점 발견
- 줌, 생성AI 어시스턴트 지원 언어 확대
- [기고]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IAM 트렌드 5가지
- 내부자 보안 사고의 56%는 ‘부주의’
- AI 업무에 워크스테이션 도입 비율 50%로 급성장
- 연결성·생산성·협업 개선하는 ‘줌 AI 컴패니언’
- [기고] 기업이 알아야 할 "데이터 규정 준수의 기본"
- AI에 대한 세 가지 질문
- 줌, 2023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UCaaS 부문 리더 선정
- 줌, 고객 경험 강화위한 줌 컨택센터 요금제 개편
- 직원과 고객의 참여 유도하는 설문조사 기능 '줌 서베이'
- [기고] 조직이 자동화를 수용하는 이유
- 다우기술, 클라우드 기반 협업 플랫폼 ‘다우싱크’ 특허 취득
- 지능적 통화 라우팅 지원 ‘차세대 컨택센터 솔루션’...고객 만족도 향상
- “떠나는 60% 고객 잡고 싶다면 AI로 CX 혁신해야”
- 스윗,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 확산 지원
- 컴플라이언스·거버넌스·보안 통합 플랫폼 ‘줌 컴플라이언스 매니저’
- [기고] 데이터 재사용의 윤리적 문제
- 정보 제공∙태스크 연동∙리포트 생성해주는 ‘구독형 AI 챗봇’
- [기고] 생성AI가 가져올 비즈니스 가치 극대화 3대 요소
- 어바이어 협업 제품군에 ‘줌 워크플레이스’ 통합 제공
-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 딱 맞는 ‘협업 기술 솔루션’
- 기업 수익원 찾아주는 자율 에이전트...'기업·사람·목표시장' 모니터링
- AI 기반 온라인 M&A 마켓플레이스 ‘리스팅’...300억 원 이하 소규모 특화
- [기고] CX 너머 ‘DEX(디지털 직원 경험)’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기업 AI 전환과 고객 서비스 혁신하는 대화형 AI 챗봇 ‘리트센’
- 맞춤형 팀 협업 혁신 솔루션 ‘커넥트나우+’
- "챗봇, 모방을 넘어 에뮬레이션으로 나아가야"
- 줌 워크비보, 메타 워크플레이스 우수 마이그레이션 파트너로 선정
- 기업 투자 최우선순위 ‘대화형 AI’
- 대화형 AI로 데이터 활용성 향상
- 보안 중심 설계 아키텍처 강화된 SDK
- AI 기반 문서 협업 솔루션 ‘줌 닥스’...협업과 업무 효율 극대화
- '음성·화상회의·인스턴트 메시징' 통합 통신 플랫폼..."프로세스 간소화·생산성 향상"
- 생성AI가 컨택 센터 상담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
- 협업 플랫폼 ‘줌 워크비보’, SNS 기능 추가...조직 문화 개선
- ‘AI 기반 팀 성과 관리’ 팀 관리 주 4시간 절약 및 현장 성과↑
- 협업 툴 '줌 팀챗', 사이드바 및 코드 공유·스니펫 기능 추가
- 산업 특화 실시간 문서 협업 분석 도구...의사결정 속도·정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