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 시장 성장세가 주목을 받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등 분산 전원의 확대와 생성 AI가 불러온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이 ESS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유럽과 북미가 그 중심에 있고 중국과 일본에서의 성장도 본격화되고 있다.

산업조사 전문기관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 대표 조성원)가 ‘2024년 글로벌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 관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전략’ 보고서를 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42GW/99GWh이지만 2030년에는 110GW/372GWh에 근접할 것을 예상한다. 이 수치는 매년 2023년 대비 2.6배씩 성장하는 것이며 연평균으로 27%씩 성장하는 것이다. 특히, 생산된 전기를 미리 저장한 뒤, 수요 피크 시간대에 판매할 수 있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이하 BESS)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계에서는 전기차 일시적 수요 둔화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BESS에 주목해 관련 제품군을 늘리고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보고서는 고서는 국내외 ESS 관련 기술과 시장 동향, 주요 업체의 사업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했으며, 전력 및 에너지 산업 관련 주요 이슈 중 탄소 중립 에너지 전환 동향과 생성AI로 인한 데이터센터의 전력난에 대응 전략 등을 담고 있다.
관련기사
-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 민·관 맞손
- 아비바코리아, 김상건 대표 선임
- 9.8분 만에 80% 충전, 10분 충전에 600Km 주행 가능 전기차 배터리
- 파워2드라이브 유럽, 전기차 양방향 충전 기술 최신 트렌드과 비전 제시
- 피엠그로우, 국내 대학과 전기차 배터리 데이터 활용 산학협력 프로젝트 추진
-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정부 지원으로 거침없는 성장
- [CES 2024] 케이블 필요 없는 전기차 충전소
- 기업 구조조정, 향후 2년 동안 가속
- 10분 충전에 400Km 주행하는 초고속 충전 배터리 ‘머큐리’
- 자가 조립 및 자가 치유 ‘양극 소재 배터리’
- 정부가 직접 나선 ‘사용 후 배터리’ 산업
-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문제, 빅 테크가 해결할 수 있을까?
- “버티브 냉각기술로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과 탈탄소 목표 달성 돕겠다”
- 2024년 상반기 ICT 수출 전년대비 28.2% 성장
- 오후두시랩, 알루미늄 재활용 기술 개발 국가과제 참여
- 옵티코어, 데이터센터용 ‘400기가비트 고속 광트랜시버’ 개발
- AI로 발전량 예측하는 전력중개 서비스 연계 ‘에너지 저장 시스템’
- 지구와 수익을 모두 지키는 현명한 선택
- 유라-타타대우상용차, 캐드바이저로 전장 설계 협력
- 피엠그로우, 전기차 배터리 안전 알림 서비스 '와트세이프' 출시
- 전기차 불안감 ‘배터리 안정성 분석 모듈’로 해결
- 한화-SK, 불타지 않는 ESS 세계 최초 개발
- AI/ML 기반 제어 시스템 갖춘 '250kW 연료전지' 시스템...데이터센터 등 고전력 고정형 애플리케이션 적합
- SAP, 탄소 회계 솔루션 ‘그린 레저’ 출시...재무와 환경 데이터 통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