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발전으로 전 세계는 '디지털 전환'에서 '지능형 전환'으로 나아가는 가운데, 자율 주행 자동차, 열차 검사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기술 도입으로 업무와 일상생활의 효율성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네트워크도 지능형 네트워크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화웨이가 21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화웨이 커넥트 2024'에서 AI 기반의 네트워크 솔루션 '싱허 지능형 네트워크' 제품 20여 종을 발표했다.

‘싱허 인텔리전스 캠퍼스’는 AI 기능을 활용한 캠퍼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오디오 및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의 멈춤과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작용 대기 시간을 단축한다. ‘인텔리전스 WAN’은 수백만 개의 데이터 트래픽을 관리하며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지능형 패브릭’은 AI 터보 엔진으로 네트워크 처리량을 높여 기초 모델 학습 효율성을 강화한다.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보안’은 AI 기술을 활용해 보안 위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한다.
그 밖에, ▲100 Tbps(초당 테라비트) 사양의 고정형 이더넷 데이터센터 스위치 ▲51.2Tbps 수랭식 고정형 데이터센터 스위치 ▲AI 라우터 10Gbps 캠퍼스 스위치 및 와이파이 7 AP ▲인텔리전스 SASE 지점 보안 솔루션 ▲IP 자율 주행 네트워크 솔루션 등 다양한 산업에 맞춘 네트워크 솔루션도 소개했다.
화웨이 레온왕(Leon Wang)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제품 라인 사장은 ‘이 제품들은 AI 네트워크 생태계에 기여하고, 기업의 지능형 개발 기회를 확보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지원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고속 데이터 연결 수요 증가로 ‘5G 서비스’ 초고속 성장
- ADAS·L2+ 투자 증가 ‘자율주행 솔루션’ 수요 가속
- 인텔리전스·분석·오케스트레이션 결합한 자동화 기술 ‘인텐트 기반 네트워킹’ 飛上
- ‘스마트 정부’ 시장, 정부주도 디지털 전환 가속으로 큰 폭 성장
- 저가 5G 스마트폰 증가세
- AI로 5G 통신 최적화하는 화웨이 ‘RAN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 유연한 확장성 ‘마이크로 모바일 데이터센터’ 주목
- 양자기술 국제 표준화, 시작은 한국에서
- ‘에지 AI 하드웨어 시장’ 웨어러블·스마트홈 인기타고 순항 중
- 개인화·맞춤형 네트워크 서비스 급증 ‘네트워크 슬라이싱’ 시장, 연평균 51.7% 광폭 성장
- IIoT·클라우드 확대로 ‘제로 터치 프로비저닝’ 견고한 성장세...네트워크 자동화·운용효율↑
- ‘RAN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5.5G 네트워크 경험·서비스 모델 향상
- 에퀴닉스, 다운타임 최소화 '네트워크 에지 이중화 솔루션' 발표
- 한국자동차공정정보협회-엔모션-이비올, 빅데이터 자동차 통합 진단 플랫폼 개발 협력
- 화웨이 'SVC', 글로벌데이터 ‘IMS·음성 코어 경쟁 환경 평가’ 1위 등극
- DPI, 데이터센터 서비스 아태지역으로 확장
- AI 도입 성공, ‘전략·기술·거버넌스·신뢰’ 구축이 핵심
- '육군 정찰용' 사족 자율 주행 로봇 '비전 60'...악천후·장애물에서도 작동
- Wi-Fi 7용 ‘광 네트워크 단말·이더넷 게이트웨이’...속도·안정성·유연성↑
- [기고] AI 중심 네트워크가 바꾸는 통신 산업의 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