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은 전자제어장치(ECU)를 콕핏 도메인 컨트롤러(CDC)나 고성능 컴퓨팅(HPC)과 같은 단일 ECU로 통합하고 있어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고성능 칩셋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자동차 제조 및 티어 1 공급 기업은 독점 인터페이스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다른 공급업체 솔루션으로 전환 시 높은 비용과 지연 문제를 겪고 있다.
반도체 설계 기업 Arm(대표 르네 히스)이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 파나소닉 오토모티브 시스템즈(Panasonic Automotive Systems, 이하 PAS)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용 차량 아키텍처의 표준화를 목표로 협력한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차량 요구 사항을 충족할 유연한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을 목표로 자동차 시장의 소프트웨어 표준화를 위해 ‘SOAFEE’에 참여 중이다. 아울러,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우선 개발로 전환해 장치 가상화 프레임워크 ’VirtIO’ 기반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드웨어와 분리하고 개발 속도를 높이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최신 기술을 쉽게 적용할 방침이다.
PAS와 Arm은 VirtIO 기술을 중앙 ECU인 CDC/HPC, 영역 기반 ECU에 연결된 원격 장치에도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PAS의 오픈 소스 원격 GPU 기술 ‘통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를 사용해 Arm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아키텍처’를 구현했다. 이 아키텍처는 중앙 ECU에서 여러 영역 기반 ECU로 GPU 작업을 분산해 발열과 하네스 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Arm의 영역 기반 ECU의 ‘Mali-G78AE’ GPU의 유연한 파티셔닝으로 다양한 워크로드에 할당해 디스플레이 영역 기반 아키텍처에서 우수한 그래픽 성능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 아키텍처의 표준화를 목표로 ‘SOAFEE 블루프린트·참조’ 구현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한다.
또한, PAS의 가상화 솔루션 ‘v스킵젠’은 Arm의 ‘네오버스(Neoverse)’ 기반 클라우드 서버에서 작동해 클라우드와 차량용 하드웨어의 환경적 동등성을 보장한다. ‘Arm CPU 아키텍처’와 ‘VirtIO’를 사용해 가상과 물리적 시스템 간의 차이를 개선할 예정이다.
그 밖에, 양사는 VirtIO 표준을 확장해 더 많은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및 오토모티브 그레이드 리눅스 등 콕핏 사용 사례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실시간 운영체제(RTOS)용 인터페이스 표준화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소프트웨어의 하드웨어 종속성을 제거하는 것도 포함된다.
PAS 마사시게 미즈야마(Masashige Mizuyama) 부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는 “양사의 협력은 VirtIO의 표준화와 산업 참조 표준을 발전에 기여하며, SDV를 위한 자동차 기술의 미래를 구축할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rm 딥티 바차니(Dipti Vachani) 수석 부사장 겸 오토모티브 사업부 총괄은 “SDV는 자동차 제조업체에 큰 기회이지만, 이 비전을 실현하려면 실리콘 출시 전에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PAS와의 협력은 SOAFEE 참여를 바탕으로 표준화를 통해 산업 파편화를 줄이고 자동차 개발 주기를 가속화하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Arm, AI 반도체 생태계 강화로 ‘미래 재창조’
- 버티브-엔비디아, 블랙월 AI 데이터센터용 전력 및 냉각 아키텍처 공동 개발
- 클라우드 네이티브 에지 운영 효율 높고 관리가 편해진 '수세 에지 3.1 '
- 심화되는 API 취약점, 3분기 21% 증가
- 데이터브릭스, AWS 칩으로 '모자이크 AI' 기반 맞춤형 LLM 강화
- 클라우데라, 데이터분석·AI 워크로드 지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비전 발표
- 마이크로칩, SDV용 멀티 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치·소프트웨어 플랫폼 출시
- 첨단 기술 투자 가속, 디지털 엔지니어링 시장 2027년 ‘1조 6540억 달러’ 전망
- 레다테크, ‘TI·Arm 프로세서’ 탑재 ‘고성능·저비용’ ADAS 솔루션 선봬
- Arm ‘AI 가속 SW’, 텐서플로·파이썬 학습 라이브러리 통합
- 일렉트로비트, 모빌리티 SW ‘안전 표준 등급 인증’ 획득
- 스마트하고 안전한 운전, 적외선 열화상 감지 센서 적용 ADAS에 맡겨!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SDV 개발 비용 절감의 핵심
- LG전자-에이펙스에이아이, SDV 통합 차세대 HPC 프로토타입 개발 협력
- [CES 2025] 실시간 차량 데이터 전송 시스템 탑재 'EMS용 SDVA'...응급 대응 속도·치사율↓
- [CES 2025] ‘에지 서버·로봇 HW/SW·AI 보안·개발 보드·ADAS’ 에지 컴퓨팅 혁신의 주역
- 앤시스, 코그나타 ‘ADAS 센서 테스트’ 지원...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고도화
- [CES 2025] 인텔, 소프트웨어 정의 차랑 플랫폼 개발 가속...차량용 적응형 제어 솔루션·차세대 외장 그래픽·가상 설계 환경 제공
- 스텔란티스-디스페이스, 신속한 클라우드 기반 차량 개발 협력 강화
- 비디오 텔레매틱스·ADAS 결합 ‘360도 전방위 운전자·도로 동시 모니터링 솔루션’...실시간 운전자 보호
- Arm, ‘칩렛 시스템 아키텍처’ 공개 사양 발표...맞춤형 실리콘 제작 가능
- 벡터-시높시스, SDV 개발 가속화 협력 강화
- “2025년 하이퍼스케일러 컴퓨팅의 절반은 Arm 기반”
- 윈드리버-레오나르도,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주파수 시스템 개발 맞손
- “SDV 넘어 AI 정의 자동차 시대, Arm이 앞당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