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초고주파 광대역을 활용한 6G 이동통신 개념증명(PoC) 시스템을 개발, 지난해 말 200Gbps급 6G 무선링크 시연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6G 이동통신 기술은 초고주파(Sub THz) 대역에서 10GHz의 광대역폭을 활용해 전송하는 다중점 송·수신 무선전송기술이다.

4개의 기지국 무선유닛(RU)이 신호를 동일 주파수 대역으로 동시 전송하고, 단말은 빔형성 기술을 활용해 4개의 RU로부터 오는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해 총 200 G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시연했다. 각 RU가 송신할 수 있는 최대 전송속도인 50Gbps의 4개 무선을 묶어 최대 데이터 전송률(Peak Data Rate) 200Gbps을 기록했다. 

 200Gbps 6G 이동통신 시스템 사진
 200Gbps 6G 이동통신 시스템 사진

연구진은 기술 개발을 위해 4개의 기지국에서 쏜 동일 대역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받는 기술을 적용했다. 수신부에서는 빔포밍 기술을 적용해 4개의 기지국에서 오는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했다. 또한 속도가 높아지면서 대용량 채널의 부호화·복호화에 필요한 기술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량을 4배 높였다.

시연에 사용한 PoC 시스템은 ▲다중점 송·수신 기술 ▲초고주파 편파 미모(MIMO) 기술 ▲대용량 코딩 기술 등 6G 이동통신의 핵심 기술이다.

6G 이동통신은 2025~2028년 동안 3GPP에서 표준규격이 제정된 후 2030년 경부터 전세계적으로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6G에서는 초실감 메타버스, 초연결 IoT, 자율차 및 공중이동체 서비스 등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진은 개발한 핵심기술이 3년 내 국제표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 고도화와 추가 연구 개발을 통해 기술 완성도를 제고하고,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테스트 플랫폼으로 활용해 6G 통신기술로 검증한다는 방침이다.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은 “이번 시연 성공으로 한국이 6G 기술을 선도하고 있음을 증명했다.”라며 “향후 글로벌 6G 표준화 및 산업화를 주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