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각종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신분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금융·산업 분야에서 안전하고 표준화된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각국의 법제도 변화와 함께 디지털 신분증의 국제표준화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디지털 신원지갑의 국제표준 개발에 본격 나섰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과제로 ETRI는 글로벌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고 국내 기술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로 개인정보 직접 통제
디지털 신원지갑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학생증, 신용카드 등 다양한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인증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2021년 모바일 공무원증을 시작으로 모바일 운전면허증,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으로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ETRI 연구진은 그동안 신원 인증 분야에서 축적해온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신원지갑의 기반 기술인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과 멀티팩터 인증 기술 등을 개발해왔으며, 다수의 핵심 지식재산권(IPR)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 정보를 직접 통제하고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분산 식별자(DID)를 적용해 개인정보 보호와 신뢰성을 한층 강화했다.
멀티팩터 인증 기술로 보안성 제고
ETRI가 개발한 멀티팩터 인증 기술은 생체정보, 스마트폰 보안칩, PIN 등 두 개 이상의 인증 요소를 결합해 보안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특히 FIDO2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을 채택해 국제 보안 기준을 충족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디지털 신원지갑의 안전성과 글로벌 호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ETRI는 이번 국제표준 개발을 통해 디지털 신원지갑의 글로벌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표준 특허 개발, 공적표준화 기구와의 연계 기술 개발, 금융·공공·산업 분야에서의 실증 적용 확대 등을 추진한다. 특히 국내의 보안 요구사항에 정통한 금융보안원과 협력해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인 오픈월렛파운데이션(OpenWallet Foundation)에서 활동 중인 DID 기반 디지털 신원 인증 솔루션 기업 호패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유럽과 국내 시장에서 기술 확산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한편, 유럽에서는 디지털 신원 인증 법률인 ‘eIDAS 2.0’이 올해 5월 발효됐으며, 2030년까지 EU 시민의 80%가 디지털 신원지갑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국제표준화기구 ITU와 리눅스재단 산하 오픈월렛포럼도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ETRI 사이버보안연구본부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국민의 디지털 삶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고, 디지털 신원 인증 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적 파급효과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ETRI 방승찬 원장은 “국제표준화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국가 차원의 전략적 활동이다.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제주AX융합연구실’ 개소...ICT 핵심 거점 본격 조성
- ETRI, 메타버스 국제표준화 자문그룹 신설 주도
- ETRI, 디지털트윈 기반 AI 상수도 관제 시스템 개발 본격화
- ETRI, ‘6G 인사이트 백서 v2.0’ 발간
- ETRI, ‘ETRI 컨퍼런스 2025’ 개최
- ETRI-웨이비스, 군용 레이더용 질화갈륨 송수신칩 국산화
- ETRI, 비정형 지형 인식 AI 기술로 세계 2위...자율주행·재난로봇 활용 청신호
- ETRI, 차량·인프라·보행자 연결하는 ‘이기종 V2X 통신기술’ 개발
- ETRI,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총괄 개발
- ETRI-한국남부발전, 발전소 스마트 운영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
- GPU 없이 고성능 머신러닝 구현하는 리눅스 기반 AI 엔진
- ETRI, 클라우드 기반 AI 연구성과 체험·공유 플랫폼 ‘이프리텍스’ 공개
- ETRI, 에지 연산 최적화·확장성 강화하는 ‘AI 반도체 SW 플랫폼’ 공개
- 문화유산 디지털 표준화 기술, 아시아 넘어 유럽 확산 본격화
- 호패, 글로벌 표준화 디지털 신원 글로벌 표준 주도
- ETRI, 원격 협업에 ‘가상 악수’ 구현...XR 기반 실감형 상호작용 기술 공개
- 개인정보 보호·규제 강화 속 ‘분산형 ID’ 급부상, 연평균 65.5% 폭발적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