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CES 2024에서는 AI기술이 산업을 넘어 일상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에 AI 일상화에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기술적으로 도태된다는 범정부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가운데 민간기업도 AI 환경 조성에 함께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 CES 2024의 AI 전폭확산을 계기로 ‘제5차 인공지능(이하 ’AI’) 최고위 전략대화’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AI기업뿐만 아니라, 아모레퍼시픽 등 뷰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등 가전, 두산로보틱스 등 첨단제조, 그리고 통신 등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했다.
정보통신산업기획평가원(IITP)에서 AI융합 중점의 CES 2024 리뷰에 이어 초거대 AI기업, 뷰티·첨단 제조업, 가전·통신, CES 혁신상 기업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은 뷰티·첨단 제조업을 대표해 참석한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와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가 AI의 피부 유전자 분석 활용 계획과 로봇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술과 AI 융합 활성화 계획을 소개했다.
가전·통신업을 대표해 참석한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과 김영섭 KT 대표는 AI 일상화와 AI 기반 조직·서비스 혁신 추진 계획을 밝혔으며, 국가 산업 전반의 AI 생태계 활성화 제언을 했다.
CES에서 혁신상을 받은 강성훈 스튜디오랩 대표, 이동윤 앙트러리얼리티 대표, 김녹원 딥엑스 대표, 유수연 네이션에이 대표, 김정현 리빌더 에이아이 대표 등은 AI가 모든 화두의 중심이 되는 시대에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초거대 AI기업을 대표해 참석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 그리고 배경훈 LG AI연구원장 등은 AI Everywhere(일상화) 시대의 AI모델·서비스 개발 등 자사의 향후 계획을 소개했다. 특히 카카오는 자사의 멀티모달 언어모델‘허니비’를 공개했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 위원장은 공공 부문 그리고 경제·사회분야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혁신 AI 기술 도입 사례를 소개했다.
과기정통부는 논의를 바탕으로 ▲AI플랫폼 확산 및 생태계 조성 ▲온디바이스 AI 확산 ▲전통산업의 AI 융합 활성화 ▲AI 기업 양성 및 해외진출 지원 확대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고금리·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 경제적·사회적 악재에 대한 대·내외 우려가 지속되고 있으며 그 돌파구는 바로 AI기반 혁신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오늘 나온 제언들을 2024년 AI 융합혁신 및 일상화 지원 정책 수립·추진에 반영해 전력투구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기반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 과기정통부, '물리보안'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
- [CES 2024] 과기정통부, 디지털 청년 인재 포럼 개최
- 양자기술·양자산업 정보 총망라한 '양자정보기술 백서'
- AI 시대, 정부가 '디지털 권리장전'에 주목하는 이유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 초일류 국가 도약' 2024년 핵심 국정과제 발표
- 메타버스 실천윤리, 생태계 혁신과 자율규제 문화 조성 기대
- 공공기관 데이터 통합한 ‘디지털집현전’
- 자율주행 AI 학습에 배달로봇 촬영 영상정보 활용 허용
- 과기정통부, 도로·지하차도 침수 사고 예방 TF 출범
- 중앙정부, “도전! K-스타트업 2024” 참가팀 모집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딥엑스, 초저전력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박차
- 언바운드랩데브, 신임 조용민 대표 선임
- 산업부, 차세대 첨단로봇 기술에 523억 원 투자, 작년 대비 4배 증액
- 메이사, 기재부 현장 방문 기업으로 선정
- 과기정통부, 디지털 창업 지원 ‘2024 K-글로벌 프로젝트’ 시행
- 과기정통부, 全 산업 디지털 서비스화 ‘XaaS 선도 프로젝트’ 추진
- 10주년 맞은 하이퍼커넥트, 향후 10년은 AI에서 승부
- 말썽 많은 중고거래 분쟁 이젠 해결되나
- KISA, 정보보호 공시 사전점검 자율협의체 출범
- 인공지능 허점 파헤치는 ‘AI 레드팀’ 모집중
- ‘한국 AI PC 얼라이언스’...“온디바이스 AI 경쟁력 확보에 주력”
- 과기정통부, 디지털 심화쟁점 해결 과제 구체화
- 딥엑스-대원씨티에스, 국내 온디바이스 AI 솔루션 확산 협력
- 딥엑스, 북미·중화권 AI 및 물리보안 시장 개척
- LG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슈퍼스타트’, 육성 스타트업 모집
- 온디바이스 AI 생태계 구축하는 ‘DX솔루션’
- 딥엑스, AI 반도체 팹리스 기술로 1100억원 신규 투자 유치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발족
- 과기정통부, ‘2024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개최
- 딥엑스, 세계경제포럼에서 ‘AI 연산 에너지 거래제도’ 제안
- 딥엑스-서울대 인공지능반도체 대학원, AI 반도체 기술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