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ICT규제샌드박스 제33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를 통해 ‘실내·외 자율주행 배달로봇(뉴빌리티, 우아한형제들)’의 자율주행 실증 지역이 전국 보도로 확대되고, 인공지능 학습에 영상정보 원본 활용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ICT규제샌드박스 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는 실증특례 지정 과제인 ‘실내외 자율주행 배달로봇’의 영상정보 원본 활용 허용을 위해 ‘영상데이터 원본 활용시 필수 안전조치 기준’ 준수를 조건으로 전국 보도에서 자율주행 인공지능 학습 용도로 영상정보의 원본을 활용할 수 있게 의결하였다.

이번 조치를 통해 기존 자율주행 인공지능의 학습에 가명처리(모자이크 처리 등)된 영상정보가 아닌 영상정보 원본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배달로봇 충돌방지를 위한 보행자 인식 오류율 개선 등 자율주행 기술의 안정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심의위원회는 최근 도로교통법 및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이하 ‘지능형로봇법’) 개정으로 실외이동로봇이 지능형로봇법 제40조의2에 따른 운행안전인증을 받을 경우 보도 이동이 가능한 보행자로 포함됨에 따라, 해당 법령 준수를 조건으로 실증 범위를 전국 보도로 확대하도록 허용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자율주행 인공지능 학습에 영상정보의 원본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과제는 ICT규제샌드박스의 ‘유사․동일과제 처리 제도(패스트트랙)’를 통해 신속히 규제특례를 받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관은 “자율주행 인공지능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로봇, 자동차, 드론 등 이동체 자율주행의 안전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는 한편, 영상정보의 원본 활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디지털 프라이버시 문제들로부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공공기관 데이터 통합한 ‘디지털집현전’
- 과기정통부, AI 융합혁신 및 대중화 적극 추진
- 과기정통부, ICT 기술 초격차 확보에 1324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기반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 과기정통부, 지방 디지털 혁신에 5770억원 투자
- 과기정통부, '물리보안'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
- 정부가 5조 8577억원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
- 올해 기초연구 사업에 2조 1179억원 투자된다
- 양자기술·양자산업 정보 총망라한 '양자정보기술 백서'
- AI 시대, 정부가 '디지털 권리장전'에 주목하는 이유
- 과기정통부, '초거대 AI 초일류 국가 도약' 2024년 핵심 국정과제 발표
- 우리나라를 지킬 ‘12대 국가전략기술’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자율운항 선박 연구에 동역학 시뮬레이션 솔루션 ‘아담스’ 지원
- 복잡한 자동차 사이버 보안, ISO/SAE 표준으로 간단하게
- 마음AI-도구공간,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 협력
- 유블럭스, 자율주행 차량 프로젝트에 잇단 채택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재난 상황에서 더 진가를 발휘할 ‘로봇’
- 말썽 많은 중고거래 분쟁 이젠 해결되나
- 바이두, 24시간 연중무휴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 AI와 통합으로 더 지능화된 AI 로봇, ‘매년 36.4% 급증세’
- 파블로항공-선진, 군집 비행 기술 고도화 맞손
- 현장 촬영 필요없는 ‘위성영상 모니터링 솔루션’
- 골프장 운영부터 농업까지 혁신하는 '드론 상용화'
- SBA, 일본 진출할 로봇테크 스타트업 모집
- 프리뉴-에어빌리티, 군용 무인항공기 시스템 개발 ‘MOU’ 체결
- 인공지능 허점 파헤치는 ‘AI 레드팀’ 모집중
- 작고 튼튼한 무인 드론 플랫폼 ‘DJI Dock2’...현장 작업에 유용
- 자율주행차용 30TB 데이터 플랫폼 ‘MPG V2’
- 드론으로 관리하는 골프장
- 프리뉴-비이아이랩, 드론 배터리 국산화∙상용화 협력
- 민·관 참여 바이오·헬스 데이터플랫폼 협의체 출범
- 네트워크 인식 AEP 개발 가속화하는 ‘개발자 샌드박스’
- 과기정통부, ‘2024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