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마케터의 63%가 AI 활용으로 업무 생산성이 높아졌으며, 69%는 AI 활용이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 & 마케팅 회사 함샤우트 글로벌(대표이사 김재희) 부설 AI 연구소는 홍보 마케터를 대상으로 실시한 ‘생성형 AI 활용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챗GPT와 빙(Bing)을 기본으로 약 100여 개 이상의 생성AI를 실무에 활용해 온 함샤우트 글로벌 직원 9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56%는 정보 검색과 수집을 위해 AI를 사용하는 빈도가 늘었다고 답했으며, 42%는 정보 수집과 문제 해결을 위한 첫번째 수단으로 AI를 활용한다고 답했다. 또한 응답자는 41%는 시장 또는 경쟁사 자료 조사에 생성AI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그 외에도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활용하거나(48%),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업무(39%)에도 생성AI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과 홍보 아이디어 기획에서도 생성AI가 점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51%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혁신적인 해결책 도출에 AI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고, 광고나 디지털 콘텐츠 아이디어 생성을 위해 AI를 활용한다는 응답이 46%, 신규 마케팅 또는 홍보 기획안 아이디어 생성을 위해 AI를 활용한다는 응답은 44%로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콘텐츠 주제 생성(43%)과 콘텐츠 기획안 초안 생성(30%) 업무에도 AI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광고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는 업무에도 생성AI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59%는 생성AI를 활용하면서 기획 및 제작하는 콘텐츠의 아이디어가 다양해졌다고 답했고, 32%는 디자인 과정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었다고 답했으며, 37%는 다양한 스타일과 콘셉트의 콘텐츠를 실험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전반적인 이미지와 영상의 퀄리티가 향상되었다는 응답은 30%였다.
응답자의 51%는 콘텐츠 소재 수급 시간이 단축되었다고 답했으며, 새로운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 해소되었다는 응답도 44%로 나타났다. 단순 반복 작업을 AI에게 위임해 업무 부담이 줄었다는 의견도 35%에 달했다.
국내 시장으로 진출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해외 고객사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AI 활용의 효과는 특히 두드러진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68%가 외국어 이메일 소통 장벽이 낮아졌다고 답했으며, 72%는 번역 품질의 향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한편, 생성AI를 업무에 활용 시 불편에 대해서는 퀄리티와 정확성에 대한 불만(25%), 무료 버전의 한계(24%), 원하는 결과를 위한 프롬프트 작성의 번거로움(22%), 여전히 심각한 할루시네이션(22%) 등을 꼽았다.
함샤우트 글로벌 김재희 대표는 “홍보 및 마케팅 분야에서 AI의 도입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며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기고] AI 잠재력 최대화하는 데이터 전략 재구상
- AI 시대, 기업 데이터 경쟁력을 높이는 3대 전략
- [기고] 기업과 조직을 위한 '데이터 활용 능력' 9대 트렌드
- 기업이 성장하는 디지털 마케팅 5대 전략
- [기고] 데이터 분석 기술에 대한 네 가지 관점
- 비즈니스의 미래를 좌우하는 빅데이터 분석
- 고객 참여도 높이는 AI 기반 마케팅 자동화 솔루션
- 생성AI 수익화 시작, 연간 65% '기하급수적'성장, 2028년 1000억 달러 전망
- 마케팅 & 광고 분야 혁신하는 AI, 두드러진 성장세
- [기고] 성공을 방해하는 AI 마케팅 전략
- 웹사이트 순위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한 백링크 솔루션
- 플리토, 산업별 실시간 AI 통·번역 데이터 학습 서비스 개시
- 생성AI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생산성 70% 향상’
- 솔트룩스, 2023년 매출 306억 원 달성 ‘역대 최대’
- 나만의 글쓰기 스타일 복제 ‘나처럼 글쓰는 AI’
- ‘웹개발·디지털 마케팅’에 인기 높은 ‘화이트 라벨 아웃소싱’ 성장도 쑥쑥!
- 솔트웨어, 생성AI로 전환 지원 ‘핏클라우드 AI’ 서비스 발표
- IT 리더 62% “AI 활용에 데이터 통합 준비 안 돼 있다”
- 개발 직군 지원자가 챗GPT 사용, 비개발 직군의 ‘최대 8배’
- 10주년 맞은 하이퍼커넥트, 향후 10년은 AI에서 승부
- PR & 마케팅 전문가에게 유용한 생성AI 솔루션
- 한글 지원 4400여 강좌로 국내 상륙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 ‘코세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