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가 10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AI 시대, 대학의 미래'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 행사는 시스코의 '국가 디지털 전환 지원 프로그램(CDA)'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150여 명의 국내 대학 IT 관계자와 교수, 정부 정책 담당자가 참석해 디지털 캠퍼스 전략과 글로벌 사례를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시스코의 AI 및 네트워크 솔루션을 활용한 교육 환경 혁신 방안이 제시됐으며, 국내 대학들이 글로벌 선진 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했다.

시스코코리아 최지희 대표
시스코코리아 최지희 대표

시스코코리아의 최지희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교육과 AI의 통합이 대학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시스코의 AI 기술과 네트워킹 솔루션을 통해 한국 대학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첫 발표를 맡은 교육부의 김재극 서기관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글로컬대학30' 정책을 소개하며,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전략을 설명했다. 시스코는 정부 정책과 연계해 국내 대학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지원하고, 대학과 기업 간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한 공동 프로젝트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스코코리아의 최희정 상무는 글로벌 대학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를 통해, AI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기술이 대학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스코는 초지능형 네트워킹 인프라를 통해 스마트 캠퍼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디지털 서비스의 가시성 확보로 캠퍼스 전역에 디지털 인텔리전스를 적용하고 있다.

시스코는 CDA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서울대, 성균관대 등 국내 8개 대학 IT 관계자와 함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와 난양공과대학교의 디지털 혁신 사례를 탐방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해 '버추얼 인턴십 프로그램(VIP)'을 출범,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을 도모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시스코의 디지털 전환 지원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대학 간의 산학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됐다. 시스코는 앞으로도 국내 대학들이 세계적인 수준의 디지털 캠퍼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