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이버 사기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보안 인식 부족과 즉각적인 대응의 어려움은 실질적인 금전적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메시지, 이메일,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피싱 수법은 일반 사용자가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실시간 사이버 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 멀웨어바이트(Malwarebytes)가가 AI 기반 모바일 중심 디지털 보안 기능인 ‘스캠 가드(Scam Guard)’를 출시했다. 스캠 가드는 멀웨어바이트의 모바일 보안 앱에 통합되어, 사용자가 메시지·DM·이메일·링크 등 다양한 콘텐츠의 위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AI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통합 모바일 보안과 실시간 대응
스캠 가드는 모바일 보안 앱에 내장된 AI 기반 채팅 도우미를 통해, 사용자가 의심스러운 콘텐츠를 접했을 때 24시간 내내 실시간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이 도우미는 개인 맞춤형 보안 안내를 제공하며, 메시지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판단 없는 지원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로맨스 사기, 피싱, 금융 사기, 문자 사기, 로보콜, 배송 사기 등 다양한 사기 유형에 대해 훈련된 AI 탐지 기술을 갖추고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새롭거나 알려지지 않은 사기 사례를 학습하여 전 세계 사용자 커뮤니티의 보안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
스캠 가드는 멀웨어바이트의 모바일 보안 앱 내부에 기본으로 포함되며, 피싱 웹사이트, 악성 광고, 사기 사이트 등 다양한 디지털 위협을 차단하는 고급 보호 기능과 함께 작동한다. 이 앱은 VPN 기능, 신원 보호 도구, 관리자 대시보드 등 다양한 보안 요소를 통합하여, 모바일 사용자에게 올인원 보호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캠 가드는 멀웨어바이트 모바일 시큐리티 앱의 모든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되며, 별도의 추가 다운로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앱 내에서 의심스러운 메시지나 이미지를 간단한 탭 한 번으로 분석 요청할 수 있으며, iOS 및 안드로이드 기기 모두에서 지원된다. 앱은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
멀웨어바이트의 소비자 제품 담당 부사장 마이클 셔우드(Michael Sherwood)는 “사기는 더 이상 예외적인 사건이 아니라 일상적인 현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쉽게 사기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스캠 가드가 직관적이고 간단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강력한 보호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 AI 사기 진화로 1분기 개인정보유출 186%, 피싱 신고 466% 급증...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 시급
- 사이냅소프트, '사이냅 문서뷰어'로 모바일 보안 강화
- [RSAC 2025]‘AI 기반 다계층 모바일 봇 방어 솔루션’...실시간 위협 분석으로 모바일 API 보안 강화
- 양자 위협 대비 초보안 메시징·파일 공유 ‘양자 복원력 모바일 앱’
- 루팅·탈옥된 모바일 기기, 기업 보안의 최대 약점
- 딥시크 공격 막는 '기업용 모바일 AI 방어 플랫폼'
- 기업 노리는 모바일 피싱 ‘스미싱·큐싱’ 급증...모바일 전용 보안 전략 시급
- 딥러닝 기반 ‘모바일 XDR 솔루션’, 400개 이상 공격 벡터 실시간 모니터링 지원
- 사기·봇·멀웨어·사이버 공격·게임 치팅 걱정 없는 ‘모바일 보안 플랫폼’
- 모바일 업무 환경 고도화로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관리’ 폭풍 성장
- “일상적·정서적·금전적 피해 심각한 모바일 사기, 실시간 차단 AI 모바일 보안 솔루션으로 대응”
- 금전 피해 넘어 생명 위협하는 ‘헬스케어 광고 사기’ 대응 전략
- AI 기반 사기 탐지·신원 보호 기술 특허 확보 전략
- 이메일 보안, 여전히 취약...엄격한 인증 정책 도입 절실
- 신원 확인 자동화와 마스터카드 기술 통합으로 사기 방지 고도화
- 금융권 겨냥 보안 위협 급증...통합 사기 탐지 기능으로 대응
- 아이폰 사용자의 보안 취약성 증가
- "무단 접근·봇 공격 동시 차단...기업 보안 효율 극대화"
- 세대별 취약점 분석으로 기업 보안 전략 재설계 필요
- 금융 사기 차단하는 ‘통합 신원 관리’
- AI 기반 통합 모빌리티 관리, 비용 절감과 보안 강화를 동시에
- 로보콜 하루 1억 건, 사기·피싱 위협...글로벌 대응 시급
- 윈도우 보안과 성능, 방치하면 위험...AI 통합 관리 툴 필요
- AI 탐지기 시장, 생성AI 확산 속 연평균 28.8% 초고속 성장...기업 신뢰·보안 핵심
- “사기 대응 실패가 신뢰를 무너뜨린다...은행 생존 ‘사기 해결력’에 달려”
- AI 사기 공포 확산...소비자 85% “AI로 사기 탐지 더 어려워질 것”
- 모바일 보안 테스트 자동화...실시간 위험 점수·최신 기기 기반 가상화 통합
- LLM·클라우드·IoT까지 감염된다...‘보이지 않는 악성코드’ 잡는 통합 스캔 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