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제조 환경이 고도화되면서 현장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효율적인 작업 환경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전자부품 및 반도체 제조현장은 고정밀 작업과 반복 업무가 많아 작업자의 생체 상태와 공정 흐름을 동시에 고려한 실시간 대응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율적으로 추론하고 피드백하는 온디바이스 AI 기술이 새로운 제조 혁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미소정보기술(대표 안동욱)이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하에 비아이매트릭스 등과 협력해 스마트 제조환경의 안전과 작업 효율을 높이는 국산 SoC 기반 온디바이스 AI 통합 서비스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온디바이스 AI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해 전자부품 및 반도체 제조 환경에서 작업자의 안전·편의를 높이고 작업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0% 이상의 작업상황 추론 정확도를 달성하고, 조기 사업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미소정보기술은 전문 도메인 영역 의료데이터와 비의료데이터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현장 통신 및 생체정보 처리 웨어러블 모듈 ▲작업환경 변화에 자율 대응하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AI 기반 추론 메타정보 생성 기술 ▲sLLM을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개인화 서비스 소프트웨어 ▲실시간 진단 및 피드백이 가능한 통합 디바이스 시스템 등을 개발한다.
이번 온디바이스 AI는 작업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안전장비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려 안전성을 강화하며, 음성 기반 작업 가이드, 업무 번역, 표준화된 공정 안내 등 기능을 탑재해 작업 효율을 높인다. 또한, 실시간 작업 모니터링 및 공정별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통해 전반적인 신뢰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미소정보기술은 2025년까지 ▲제조환경 변화에 대한 추론 서비스 고도화 ▲전자부품 산업 맞춤 메타정보 생성 ▲스탠드-얼론 AI 모듈 고도화 ▲온디바이스 AI 통합 플랫폼 기술 완성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2026년부터는 실제 제조현장에 적용해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예정이다.
미소정보기술 안동욱 대표이사는 “이번 기술은 작업자와 제조현장을 지능적으로 연결하는 ‘지능형 파트너’로 진화할 것”이라며, “국내 최초로 국산 SoC를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기반 통합 플랫폼의 상용화를 통해 반도체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 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미소정보기술-하이젠 헬스케어, K-헬스케어 글로벌 공략 맞손
- 미소정보기술-사이냅소프트, 생성AI 솔루션 혁신사례 및 분야별 AI 에이전트 솔루션 공개
- 미소정보기술, 키르기즈공화국 디지털 헬스케어 진출 본격화
- 미소정보기술-원스글로벌, 의약품 데이터 품질 표준화·복약관리 고도화 협력
- 미소정보기술, 헬스케어 AI 융합 기술 10건 특허 등록
- 미소정보기술-마인즈에이아이, 바이오기술·AI 융합 ‘정신건강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개발 협력
- 미소정보기술-KMI한국의학연구소, 개인 맞춤형 K-건강검진 글로벌 시장 협공
- 실시간 기업 계획 자동화와 의사 결정 지원 강화하는 'AI 보드 에이전츠'
- 데이터의 실시간성·보안성·유연성 강화한 에지 게이트웨이 ‘옵틱스엣지’...제조 현장 업무효율↑
- 프랙틸리아, 수조 원 규모 수율 손실 해결 기술 발표
- 의료데이터 통합 플랫폼으로 K-디지털헬스케어 수출 본격화
- 모든 생성AI 기능을 한 곳에, 기업을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기술
- 미소정보기술, 남상도 신임 대표이사 선임
- 건설·제조 중대재해 사전 차단하는 AI 위험성 평가 솔루션 ‘세이프위2.0’
- 미소정보기술, ‘AI 팩토리 전문기업’ 선정
- 생성AI 기반 헬스데이터 유통 플랫폼 ‘헬스데이터허브’, 의료AI·신약 개발 가속
- 미소정보기술-인실리코젠, 의료·바이오 데이터 기반 AI 정밀의료 솔루션 개발 협력
- AI 확산 속 신뢰 붕괴 가속...강력한 인증·규제 시급
- 산업 재해 예측 AI ‘세이프위2.0’...건설 현장 안전관리 강화
- 결정론적 AI와 자율 추론 결합...복잡한 서비스 장애 실시간 해결
- 디지털 제조 전환 속도 높이는 5단계 구현 전략…현장 기반 도입으로 ROI 앞당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