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와 원격 근무가 보편화되면서 기업의 IT 환경은 복잡해지고 있다. 다양한 기기와 플랫폼이 혼합된 환경에서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UEM) 도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시장 내 도구의 급격한 확산은 오히려 엔드포인트 취약성을 높이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IT 산업 전반에서는 보안 사고 위험 증가, 규정 준수 부담 확대, 그리고 사용자 만족도 저하라는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에서는 원격 근무자가 급격히 늘어나며 기기 관리 전략의 부재가 기업 생산성 저하와 보안 리스크 확대를 초래하고 있다.
글로벌 IT 연구 및 자문 기업인 인포테크 리서치 그룹(Info-Tech Research Group)은 “기업용 기기 관리 전략 구축 및 실행(Build & Execute an Enterprise Device Management Strategy)”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하이브리드 및 원격 근무 환경에서 기기 관리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닌 전략적 우선순위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많은 기업이 여전히 기기 관리를 단순 기술 이슈로 취급하고 있으나, 보안과 생산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3단계 기기 관리 전략
인포테크 리서치 그룹은 효과적인 기기 관리 전략을 위해 세 단계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 첫째, 방향 설정 단계에서는 현재 기기 사용 현황과 비즈니스 동인을 분석해 기업 페르소나를 정의한다. 둘째, 제공 서비스 정의 단계에서는 표준 기기 제공 서비스, 프로비저닝, 지원 모델, BYOD, 원격 삭제 정책 등 명확한 서비스 정책을 수립한다. 셋째, 로드맵 구축 단계에서는 성공 지표, 일정, 위험 평가, 예산 계획 등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한다.

보고서는 기기 품질만으로는 사용자 만족도를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인포테크 리서치 그룹의 수석 리서치 애널리스트 에밀리 슈거먼(Emily Sugerman)은 효과적인 기기 관리 전략이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생산성과 보안을 동시에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원 체계가 부족하거나 문제 해결이 미흡하면 기기 품질과 관계없이 IT에 대한 불만이 증가한다고 강조했다.
이 보고서는 하이브리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이 기기 관리 전략을 재정립하도록 돕는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보고서는 표준화된 정책, 일관된 플랫폼 운영, 강화된 보안 체계를 통한 운영 최적화가 기업 경쟁력 강화와 직결된다고 밝혔다. 특히 산업 전반에서 IT 리더와 기기 관리팀이 비즈니스 목표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네트워크·보안 시장 'AI 기반 통합 SASE 플랫폼'으로 견고한 성장세
- 2025년 하반기 주목해야할 IT 자산관리 ITAM 5대 트렌드
- 레노버, AI·원격 업무 최적화한 최신 씽크스테이션·워크스테이션 출시
- ‘줌 AI 컴패니언’ 써드파티 연동·회의 요약 자동화로 업무 효율·협업↑
- 디지털 전환 성숙도 진단, 하이브리드 업무 성과 중심 IT 운영 기준 마련
- 중소기업용 ‘협업 통합 플랫폼’...비즈니스 채팅·작업관리 통합해 비용·관리 효율↑
- 하이브리드 근무 협업 강화한 ‘줌 스페이스’
- 팀뷰어,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플랫폼 ‘팀뷰어 원’ 출시
- 랜섬웨어 방지 솔루션 시장, “2031년 517억 1천만 달러”...연평균 13.3% 성장
- 하이브리드 환경 최적화 ‘통합 커뮤니케이션 솔루션‘...통화·채팅·화상회의 지원해 업무 효율·협업↑
- 불확실성 시대 돌파하는 ‘기술 중심 행동 계획’
- AI 로봇 원격근무 솔루션 ‘버프 파일럿’...고용 혁신 가속
- 시장 경쟁력 높이는 ‘AI 경쟁 소프트웨어 선택’ 전략
- 자산·자산운용업, AI 채택 가속화...생산성·운용자산·수익성 동시 강화
- 정부 IT 불확실성, 기술 투자로 기회 전환
- 기업 회복력·운영 향상 필수 “AI 기반 서비스 데스크 구현 3단계 전략”
- 생산성 높인 원격 근무, 감시보다 신뢰와 지원이 해답
- 실시간 기기 분석·경보로 엔드포인트 위험 선제 대응
